정치 통일·외교·안보

정부 "민스크 협정 존중해야…우크라 체류 교민에 철수 설득 중"

한국인 63명 체류 중… 30여 명은 결혼정착 등으로 철수 거부해

지난 21일 우크라이나 동부의 친러세력이 장악한 도네츠크에서 주민들이 러시아 국기를 흔들며 환호하고 있다./연합뉴스지난 21일 우크라이나 동부의 친러세력이 장악한 도네츠크에서 주민들이 러시아 국기를 흔들며 환호하고 있다./연합뉴스





정부가 긴박하게 돌아가는 우크라이나와 관련 “국제법과 민스크 협정 등을 존중하면서 평화적 해결방안을 모색해 나갈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또 여전히 우크라이나에 체류 중인 교민 63명에 대해 철수를 지원하거나 안전지역으로 이주 등을 설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최영삼 외교부 대변인은 22일 정례브리핑에서 “우리 정부는 최근 전개되고 있는 우크라이나의 긴장 고조 상황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한다”며 “우리 정부는 우크라이나의 주권, 영토 보존을 일관되게 지지해왔다”고 밝혔다. 이어 “관련 당사자들이 국제법과 민스크협정 등을 존중하면서 평화적 해결방안을 모색해나갈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이는 도네츠크 등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의 친러세력이 분리·독립을 추진하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명한 것이다. 러시아가 이들 지역의 독립을 승인하자 미국과 서유럽 주요 국가는 국제법 위반이며 민스크협정 파기라고 주장하는 상황이다.

외교부는 우리 교민의 철수 상황 등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외교부에 따르면 현재 우크라이나에 체류 중인 한국국적 국민은 63명이며 이 가운데 30여 명이 정부의 철수 제안에 응하지 않고 있다. 외교부 관계자는 “현지인과 결혼, 자녀 양육 등으로 철수가 곤란하다는 뜻을 밝힌 한국 국적인이 있는데 계속 설득하고 있다”며 “위험지역인 도네츠크에 거주 중인 우리 교민은 현재 없으며 우크라이나 체류 교민과는 실시간으로 연락하며 상황별로 대응 방안을 안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외교부는 또 현지에 우리 국민이 여전히 체류하고 있다는 점 등을 이유로 공관 철수 계획도 없다고 밝혔다. 외교부 관계자는 “공관을 철수할 계획은 없다”며 “왜냐하면 우리 국민이 아직 체류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