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신동빈 "가상 세계 기준 만들자"…초실감형 메타버스 서비스 출시

신회장, 메타버스에 경영회의 파격제안

'뉴롯데' 핵심으로 메타버스 선정

롯데정보통신, 2분기 베타 서비스

계열사 사업 관련 플랫폼 중심 재편

신동빈 롯데 회장이 22일 그룹의 주요 현안과 사업 전략을 논의하는 메타버스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 제공=롯데신동빈 롯데 회장이 22일 그룹의 주요 현안과 사업 전략을 논의하는 메타버스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 제공=롯데




22일 주요 경영진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롯데 메타버스 회의 장면. 사진 제공=롯데22일 주요 경영진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롯데 메타버스 회의 장면. 사진 제공=롯데


미래 산업 투자에 속도를 내고 있는 롯데그룹이 메타버스에 방점을 찍고 사업 선점에 나선다. 신동빈 롯데 회장은 직접 메타버스 회의를 주재하며 ‘뉴롯데’를 향한 재도약의 의지를 다졌다. 롯데는 오는 2분기 메타버스 플랫폼 서비스 출시를 시작으로 본격 시장 선도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롯데는 22일 오전 주요 경영진이 참여해 그룹의 주요 현안과 사업 전략을 논의하는 메타버스 회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신 회장을 비롯해 송용덕·이동우 롯데지주 대표와 각 헤드쿼터(HQ) 총괄대표 등이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해 회의에 참석했다. 노준형 롯데정보통신 대표가 메타버스 시장의 현황과 사업 방향성을 발표하는 것으로 시작된 회의는 두 시간가량 이어졌다.




이날 회의를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진행하자고 제안한 인물은 신 회장이다. 평소 첨단 기술에 관심이 많아 ‘얼리어답터’로 잘 알려진 신 회장은 주요 경영진들이 무형자산의 중요성을 직접 경험해 볼 수 있도록 메타버스로 회의를 진행하자고 회사에 제안했다. 회의에서도 신 회장은 “두려움을 극복하고 앞서가면 우리가 기준이 될 수 있다”며 “화성보다 먼저 살아가야 할 가상융합 세상에서 롯데 메타버스가 기준이 되도록 노력하자”고 당부했다.

관련기사



경영진들은 회의를 통해 롯데의 메타버스 전략의 방향성을 논의하고 일부 계열사의 구체적인 사업 현황을 점검했다. 이 자리에서 롯데가 제시한 시장 선도의 핵심은 ‘초실감형 메타버스 라이프 플랫폼’이다. 우선 지난해 7월 메타버스 스타트업 칼리버스를 인수한 롯데정보통신은 실사 기반의 메타버스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회사는 현실감을 대폭 강화한 콘텐츠를 바탕으로 결제 기능까지 갖춘 플랫폼을 개발해 이르면 올해 2분기 중 베타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다. 다른 롯데 계열사와의 협력도 강화한다.

롯데벤처스는 메타버스·가상현실(VR)과 관련된 스타트업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지금까지 증강현실(AR) 글라스 제조기업 ‘레티날’, 산업용 VR 솔루션 기업 ‘버넥트’, 3D 기술 가상 쇼룸을 제공하는 플랫폼 ‘패스커’에 투자했다.

최근 온·오프라인 유통 업계의 경쟁 심화와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실적 악화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롯데는 메타버스 투자를 반등의 계기로 삼겠다는 전략이다. 롯데는 그룹의 핵심 사업인 유통 부문에서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으며 경쟁사와 달리 호텔·쇼핑 사업도 난항을 겪고 있다. 이에 신 회장은 연초부터 “새 시장, 새 고객 창출에 투자를 집중하라”고 강조하며 혁신의 고삐를 강하게 쥐었다. 그중 전 계열사를 관통하는 사업의 핵심 키워드가 바로 메타버스인 것이다.

각 사의 움직임도 활발하다. 롯데홈쇼핑은 최근 홈쇼핑 업계 최초로 가상 디지털 의류브랜드를 출시했다. 라이브커머스를 3차원 가상세계로 구현한 ‘메타라이브 스튜디오’도 연내 오픈할 예정이다. 롯데푸드는 식품 업계 최초로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브랜드 게임을 선보이며 MZ세대와의 양방향 소통을 강화하고 있다.

메타버스를 직접 체험하고 이해할 수 있는 공간도 늘려가고 있다. 지난 1월 리뉴얼 오픈한 롯데인재개발원 오산캠퍼스에는 메타버스 체험관을 별도로 구성해 임직원들이 VR 기기 등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3월에는 롯데정보통신 본사(서울 금천구 가산동)에 메타버스 전시관을 오픈한다.

메타버스 회의에 참여한 한 임원은 “메타버스를 기업에서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인프라 투자뿐 아니라 조직문화, 커뮤니케이션 스킬 등의 변화도 필요하다”며 “초실감형 메타버스 기술이 더해지면 온·오프라인 융합 비즈니스의 추진 속도가 빨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전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