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尹=경제무능' 씌운 李…"그 사람, 진짜 못 알아 듣더라"

◆인천 등 수도권 집중 유세

"국가 투자·기업활동 구분 못해"

TV토론후 '무능 프레임' 강조

尹 과거 '대북 발언'도 정조준

350조 들어갈 대선 공약집 내놔

국회 '헌법재판관 6인 선출'도

이재명(왼쪽)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2일 인천 부평역 광장에서 열린 유세에서 한 지지자로부터 앞치마를 선물받은 후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 성형주 기자이재명(왼쪽)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2일 인천 부평역 광장에서 열린 유세에서 한 지지자로부터 앞치마를 선물받은 후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 성형주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2일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를 겨냥해 “전쟁 위기를 고조시켜 자기 표를 얻겠다는 ‘안보 포퓰리즘’은 과거 북풍이나 총풍과 같다”고 지적했다. 전날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주최 TV 토론에서 윤 후보의 대북관을 문제 삼았던 이 후보는 유세 현장마다 윤 후보의 과거 발언을 거론하며 날 선 비판을 이어갔다.

이 후보는 이날 인천시 남동구 구월동 로데오거리광장에서 “인천은 남북 관계가 악화될 때마다 가장 큰 경제적 피해를 입는 곳”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과거 서해교전 등 인천의 지리적 특성을 설명한 이 후보는 “대한민국의 가장 큰 경제적 문제는 지정학적 리스크”라며 “평화가 곧 밥이고 경제”라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윤 후보의 대북 정책이 지정학적 리스크를 키우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사드(THAAD)를 배치하니, 선제 타격을 하니 하면 어떻게 될지 모르는데 (외국에서) 투자를 하겠느냐”며 “남북이 대치하면서 군사 갈등이 고조되면 외국자본은 철수한다. 외국에 돈을 빌리면 이자를 더 달라고 한다”고 우려했다. 이어 “기업들이 일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자유로움과 예측 가능성”이라며 윤 후보의 대북관을 재차 문제 삼았다.



부평역과 안산시 등 이후에 진행된 현장 유세에서도 윤 후보에 대한 강도 높은 공세를 펼쳤다. 이 후보는 “(윤 후보가 집권하면) 휴전선에서 서로 총질하고 한반도가 극단적 대결의 장으로 변할 가능성이 크다”며 “미국에서도 나온 이야기”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이 후보는 윤 후보를 겨냥해 “그 사람 못 알아듣더라, 진짜 못 알아듣더라”라고 꼬집으며 무능 프레임도 부각시켰다. 이 후보는 전날 TV 토론 때 경제성장 과정에서 정부의 역할 비중을 두고 윤 후보와 난타전을 벌였다. 그는 “국가의 인프라 투자, 교육 투자, 기술 투자와 기업 활동을 구분하지 못하는 사람(윤 후보)이 있다”며 “이런 실력으로 어떻게 경제를 살리나”라고 반문했다.

윤 후보의 신천지 압수 수색 거부 의혹과 관련한 ‘무속 논란’도 정조준했다. 그는 “모 후보가 자기가 대통령 되겠다는 꿈으로 영매가 무서워서 압수 수색을 포기했다고 할 때 저는 본진에 쳐들어가 (교인) 명부를 구하고 시설을 폐쇄시키고 교주(이만희 총회장)를 검사시켰다”고 비교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와 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를 에둘러 비판하는 모습도 보였다. 두 후보는 이 후보가 과거 경기지사 재임 시절 재난기본소득 등의 사업에 치중하느라 소상공인 지원은 전혀 하지 않았다고 한목소리로 성토했다. 이 후보는 “(지역화폐를 통해) 매출이 오르면 통닭집이 살고, 닭도 사고 사료도 사고 알바도 필요하다. 이것이 경제”라면서 “무식하게 현금을 주면 경제가 좋아진다는 사람들에게 나라 살림을 맡기면 흥하겠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는 이날 정책 공약집을 발표했다. 공약집은 △신경제 △공정 성장 △민생 안정 △민주 사회 △평화 안보의 5대 비전과 20대 핵심 추진 과제, 272개 실천 과제로 구성됐다. 선대위는 공약 이행에 최대 약 350조 원이 소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아울러 생애 최초 주택 구입자 주택담보인정비율(LTV) 최대 90%까지 인정, 용산공원 인근 주택 10만 가구 전량 청년기본주택으로 공급, 실물 자산 연동 코인 발행 등을 주요 공약으로 소개했다.

민주당은 헌법재판관의 민주적 정당성을 강화하기 위해 총 9인으로 이뤄진 헌법재판관의 구성 방식을 변경하겠다는 내용도 담았다. 대법원장이 3명을 지목하는 기존 방식을 폐지하고 6명의 헌법재판관을 국회에서 선출하겠다는 방침이다. 국무총리 국회 추천제 도입을 통한 책임총리제 구현 등 정치 개혁 방안도 포함됐다.

박진용 기자·인천 ·부천 ·안산=정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