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LG, 구글 등과 글로벌 초거대 AI 생태계 만든다

13곳 참가 ‘엑스퍼트 AI 얼라이언스’ 발족

패션 디자인·고객 상담·DB 구축 등 활용

배경훈 LG AI 연구원장이 22일 열린 '엑스퍼트 AI 얼라이언스' 발족 행사에서 초거대 AI '엑사원'의 다양한 활용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 제공=LG배경훈 LG AI 연구원장이 22일 열린 '엑스퍼트 AI 얼라이언스' 발족 행사에서 초거대 AI '엑사원'의 다양한 활용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 제공=LG




LG그룹이 자체 개발한 초거대 인공지능(AI) ‘엑사원’을 기반으로 구글과 우리은행·EBS 등 13개 주요 기업·기관이 참여하는 글로벌 연합체를 결성했다. 이를 통해 글로벌 AI 생태계를 확장하는 한편 AI 플랫폼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를 선점한다는 계획이다.



LG AI연구원은 22일 국내외 13개 기업이 모인 ‘엑스퍼트 AI 얼라이언스’를 발족시켰다. 초거대 AI 분야의 첫 민간 연합체로 구글·우리은행·셔터스톡·엘스비어·EBS·고려대학교의료원·한양대학교병원·VA코퍼레이션·LG전자·LG화학·LG유플러스·LG CNS 등 다양한 업종이 뭉쳤다. 초거대 AI는 대용량의 연산이 가능한 컴퓨팅 인프라를 기반으로 대규모 데이터를 스스로 학습해 사람처럼 사고·학습·판단할 수 있는 AI다.

관련기사



이들 기업은 LG의 초거대 AI ‘엑사원’을 바탕으로 협업에 나선다. 구글은 슈퍼 컴퓨팅 클라우드 서비스를 LG AI연구원에 제공해 초거대 AI의 성능을 높인다. EBS는 수학 문제를 AI가 자동으로 해설하는 서비스를 내놓고 엘스비어는 자사가 보유한 1억 건의 의학·과학 분야 전문 문헌을 데이터베이스(DB)로 만든다. 또 엑사원으로 구현한 AI 아티스트 ‘틸다’가 박윤희 디자이너와 함께 만든 의상을 지난 14일 미국 뉴욕 패션위크에 선보인 것처럼 전문 상담사에 버금가는 AI 챗봇이나 AI 은행원 등 초거대 AI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출시된다.

LG AI연구원은 파트너사들이 쉽고 간편하게 초거대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39개의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를 올 상반기 중 공개한다. API는 질의응답과 텍스트 분류, 요약, 대화, 텍스트 생성, 키워드 추출, 이미지 생성, 이미지 캡셔닝 등 8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 연구원은 또 코딩에 관한 전문 지식이 없거나 AI 개발자가 아니어도 손쉽게 웹에서 엑사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올 하반기 서비스 플랫폼 ‘엑사원 플레이그라운드’를 내놓는다. 연구원은 파트너사의 데이터 보안과 AI 개발 기간의 부담을 덜어 줄 신기술인 ‘엑사원 튜닝’도 공개했다. 엑사원 튜닝은 현재 가장 범용으로 활용되는 방식(P튜닝)보다 처리속도가 빠르고 정확도는 네 배 가까이 높다.

배경훈 LG AI 연구원장은 “파트너사와 긴밀하게 협력해 모든 산업 영역에서 상위 1% 전문가 AI를 만들어 새로운 고객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