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긴장감 높아지는 대만…中 '무력 통일' 공포 엄습

바이든 지원·첨단 장비로 무장

우크라와는 사정 크게 다르지만

中 "오판 말라" 경고 등 위기감

조 바이든(오른쪽)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서울경제DB조 바이든(오른쪽)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서울경제DB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가장 불안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곳이 대만이다. 중국이 ‘양안(중국과 대만) 관계는 불가침 영역’이라는 입장을 고수하는 만큼 ‘무력 통일’ 가능성이 상존하는 까닭이다. 대만으로서는 우크라이나 사태를 강 건너 불구경하듯 할 수 없다는 의미다. 내부적으로는 이런 사태가 대만에서도 조만간 비화될 가능성이 있다는 위기감이 높다.

실제 러시아 우방을 자처하고 나선 시진핑 중국 정부는 우크라이나 침공을 대만 ‘단속’의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인 환구시보는 25일 ‘미국에 버림받을 수 있다는 두려움이 (대만 집권당인) 민진당을 괴롭히고 있다’는 제목의 사설을 내보냈다. “미국이 도와줄 것이라는 오판을 하지 말라”는 대만을 향한 경고가 사설에 담겼다. 조 바이든 미국 정부가 ‘우크라이나 파병은 없다’고 선을 그은 것을 강조한 것이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도 지난 4일 시진핑 주석과 정상회담을 하며 “어떤 형태로라도 대만의 독립을 반대한다”며 시 주석을 거들었다. 중국이 우크라이나처럼 대만 ‘복속’에 착수할 경우 2차 냉전이 유럽에서 아시아로 자리를 옮겨 재연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관련기사



물론 대만과 우크라이나는 사정이 크게 다르다. 바이든 정부에 대만은 중국과 벌이고 있는 아시아태평양 패권 다툼의 최전선이다. 지난해 10월 CNN 타운홀 미팅에서 “(중국 공격 시) 대만을 방어할 책임이 있다”는 바이든 대통령의 ‘실언 아닌 실언’이 이를 잘 보여준다. 대만 주재 미국대사관 격인 미국재대만협회는 23일 “미국의 대만 지지는 반석처럼 굳건하다”는 성명을 내기도 했다.

지리적 환경도 크게 다르다. 중국과 대만 사이에는 130㎞ 해협이 가로막고 있다. 특히 대만은 지난 70년간 섬을 요새로 만들고 40년간 수십조 원을 투입해 전투기와 미사일 등 첨단 장비로 무장했다.

대만은 최고의 반도체 기업 TSMC도 보유하고 있다. 이 TSMC의 상당수 팹이 해안가에 자리한다. 유사시 중국의 침공에 대비하는 전략적 차원이 녹아 있다. 만약 중국이 대만을 침공한다면 엄청난 피해를 감수해야 하며 이마저도 성공을 장담할 수 없다는 말이 나온다.

그러나 대만 사태 역시 결국 ‘키’는 중국이 쥐고 있다. 바이든 정부가 우크라이나에 파병하지 않는 이유 가운데는 ‘확전 방지’도 있다. 미국이 전략적으로 필요한 대만을 그냥 두지는 않겠지만 중국과 군사적 충돌을 불사할 것이라고만 여길 수도 없는 이유다.


조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