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박형준 부산시장 “옛 부산외대 부지, 게임산업 거점지역으로 육성"

민간사업자, 부산시 개발 가이드라인 수용

개발이익 환수 위해 충분한 공공기여 보장 등

시, 게임산업 공공기관·연구소 등 유치


부산 남구 옛 부산외국어대학교 부지가 게임산업 거점으로 탈바꿈할 전망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2일 기자회견을 열고 ‘옛 부산외대 부지’에 대한 개발방향을 제시하고 이 지역을 ‘게임산업 거점지역’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해당 부지는 2014년 2월 부산외대가 금정구 남산동으로 이전한 이후부터 줄곧 방치되면서 인근 상가 쇠락, 주변 슬럼화 등 지역 침체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 곳이다.



시는 2019년 12월 해당 지역 활성화를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협약을 맺고 옛 부산외대 부지에 대한 공영개발을 추진했으나 지난해 10월 부지 소유자인 성지학원이 민간사업자에게 옛 부산외대 부지를 매각하면서 난항을 겪었다. 이후 주변 여건 변화 등의 사유로 공영개발 추진이 불가능하다는 의견을 한국토지주택공사로부터 지난 1월에 전달받았다.

공영개발이 불가능해짐에 따라 시는 옛 부산외대 부지에 대한 개발 가이드라인을 민간사업자에 제시했다. 주요 내용은 장기간 방치로 피폐해진 지역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주거용지 비율은 줄이고 업무시설용지 비율을 늘리는 것과 개발이익 환수를 위해 공공기여를 충분히 보장할 것 등이다.민간사업자는 이 가이드라인을 적극 수용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민간사업자는 주거용지비율을 당초 46.4%에서 38%로 줄이고 업무시설 등 용지비율을 18.2%에서 39.1%로 늘리는 방안을 검토한다. 또 공공기여를 위해 1만2906㎡의 업무시설 용지를 시에 기부채납한다. 시가 민간사업자와 협의한 개발방향과 비교하면 주거용지 비율은 더 낮추고 업무용지 비율이 더 확대돼 한국토지주택공사와 계획했던 공공개발 그 이상으로 공공기여도가 더 충분히 보장된 것이라고 시는 설명했다. 당초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시가 2019년 협의했던 주거용지 비율은 38.5%, 업무시설 등 용지비율은 31.6%이며 공공시설 용지 7,500㎡를 무상양여할 계획이었다.

관련기사



부산외국어대학교 이번부지 개발방안./사진제공=부산시부산외국어대학교 이번부지 개발방안./사진제공=부산시




이러한 개발방향 아래, 시는 옛 부산외대 부지를 게임산업 거점지역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기부채납 받을 예정인 업무시설용지에 게임콘텐츠 비즈니스 파크를 조성하고 이곳에 게임산업 관련 공공기관, 연구소, 교육기관, 민간기업 등을 유치해 게임산업 창업생태계를 만들 구상이다. 게임콘텐츠 비즈니스 파크와 시의 게임산업 관련 비전과 정책이 상호 시너지 효과를 일으켜 세계적인 게임 메카 도시로 도약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향후 옛 부산외대 부지에 조성될 주거지를 게임산업 관련 종사자가 우선 입주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이와 함께 지역주민들이 함께 이용할 공원과 같은 녹지공간도 최대한 확보할 계획이다.

시는 부지를 매입한 민간사업자가 시의 개발 가이드라인에 맞는 개발계획안을 제출하면 전문가 의견, 도시·건축 공동위원회 자문, 시의회 의견 청취 등 충분한 의견수렴 과정을 통해, 장기간 방치된 옛 부산외대 부지가 공공성을 확보한 개발로 추진될 수 있도록 만전을 다할 계획이다.

박 시장은 “부산은 세계적인 게임 메카 도시가 될 수 있는 충분한 역량과 잠재력을 가진 도시다. 옛 부산외대 부지를 게임산업 거점지역으로 육성해 세계로부터 주목받는 게임 메카 도시로 도약하고 부산에 다시 한번 혁신의 파동을 일으키겠다. 이뿐만 아니라 공공성을 최대한 확보한 개발이 추진될 수 있도록 해 지역주민들의 생활에도 힘이 될 수 있도로 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