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금융위 "마이데이터, 빅테크·의료 정보까지 확대돼야"

출범 두달만 데이터 전송 125억

고승범 금융위원장 연합뉴스고승범 금융위원장 연합뉴스




마이데이터(본인신용정보관리업)의 정보공유 범위가 빅테크, 의료 분야로 더 확대하는 방안이 추진될 전망이다.



금융위원회는 3일 비대면으로 주요 마이데이터 사업자, 전문가, 유관기관 등과 함께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이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서 고승범 금융위원장은 “초연결 및 초융합화라는 시대적 변화에 발맞춰 금융권 정보 외에도 빅테크, 의료 등 비금융 분야의 정보까지 서비스가 확대돼야 한다”면서 “다양한 분야 정보 제공을 통해 혁신적인 융복합 서비스가 창출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마이데이터란 흩어진 개인 신용정보를 한 곳에 모아 보여주고 재무 현황·소비패턴 등을 분석해 적합한 금융상품 등을 추천하는 등 자산·신용 관리를 도와주는 서비스를 뜻한다. 지난달 21일 기준 총 39개의 서비스가 출시됐다. 출범 약 두 달만에 가입자는 1840만 명에 달한다. 서비스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는 총 125억 건으로 집계됐다.

고 위원장은 “소비자의 신뢰는 철저한 정보 보호와 보안이 전제되는 만큼 마이데이터 사업자들은 정보 보호와 보안에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며 “마이데이터 산업도 편리하고 혁신적인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소비자의 선택을 받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금융 당국은 마이데이터 사업자가 차별화된 서비스를 선보일 수 있도록 금융규제 샌드박스 등을 통해 지원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사업자와 전문가들 역시 정보제공 범위 확대를 촉구했다. 일부 미반영된 금융권의 정보 및 빅테크, 의료 등 비금융 정보 등 신속제공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금융회사가 마이데이터와 관련된 핀테크 기업에 투자할 수 있도록 핀테크 투자 가이드라인에 마이데이터를 핀테크 업무 범위로 명확히 규정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이 외에도 △서비스 가입 및 전송요구 절차를 추가로 간소화하는 방안 △진입, 경쟁, 퇴출 등 공정한 금융생태계 조성 필요성 △디지털 취약계층을 포용 필요성 등이 언급됐다. 금융 당국은 간담회에서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제도 개선에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