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저소득층도 지역농민도 농식품바우처가 지켜요

저소득층 먹거리 부담 덜고

농산물 소비 촉진에도 기여

농식품부 시범사업 호평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식품 바우처’ 시범 사업이 취약 계층과 지역 농민에게 호평을 받고 있다. 최근 물가가 급등한 상황에서 취약 계층의 먹거리 부담을 덜어주고 지역 농산물 소비 촉진에도 기여해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는 평가다.



3일 농식품부에 따르면 취약 계층에 바우처를 지급해 과일·채소 등 국내산 농식품 구매를 지원하는 농식품 바우처 시범 사업(2020년 기준)을 통해 먹거리를 지원받은 이들 중 96.3%가 재참여를 원했다.
설문 조사 결과 이들은 사업 참여 이후 식생활 만족도, 건강, 식사 규칙성 등이 향상됐다고 답했다. 이에 농식품부는 관련 예산을 지난 2020년 35억 원에서 지난해 89억 원으로 늘리고 대상 지역을 4개 시군구에서 10개 시군구로, 지원 대상을 1만 5000가구에서 3만 3000가구로 확대했다.

관련기사





농식품 바우처는 중위소득 50% 이하 가구에 전자 바우처 카드를 지급해 국내산 농식품을 월 4만 원씩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경제적 취약 계층의 식생활을 개선하는 게 주 목적이다. 지원 품목은 기존 과일·채소·우유·달걀에 지난해 육류·잡곡·꿀이 추가됐다. 현금이 아닌 바우처 지급으로 수혜자들이 먹거리 구매라는 사업 목적으로만 돈을 쓸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지난해에는 지방자치단체가 로컬푸드 꾸러미 구성 등을 활성화해 지역 농산물 소비 또한 촉진했다. 해남군은 지역에서 생산되지 않는 우유를 제외하고 전 품목을 로컬푸드로 구성한 꾸러미를 식품 판매점 접근이 어려운 저소득층에 공급했다. 거제시도 ‘찾아가는 행복장터(마차)’라는 이름으로 방문 판매와 꾸러미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며 거동이 불편한 이들의 먹거리 접근성을 개선했다.

농식품 바우처 사업이 취약 계층의 영양 불균형 해소와 의료비 절감 등으로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만큼 전국에 확대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시범 사업 참여자는 “돈이 부족해서 매번 식비를 줄여야 했는데 식품비를 지원받아 건강과 영양 공급 면에서 좋았다”며 “특히 대파와 달걀 등 농식품 가격이 비쌀 때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세종=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