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할리우드 리포트] 아홉 살 소년이 아는 유일한 세상 ?

‘벨파스트’의 케네스 브래너 감독








사진 1. 케네스 브래너 감독이 영국 햄프셔 판보로 공항에 지어진 ‘벨파스트’의 세트장에서 촬영 준비를 하고 있다./사진 제공=Focus Features

“아홉 살 소년의 눈에 부모는 눈부시게 매혹적인 존재여서 그들의 세상이 훨씬 더 크게 보이죠”

영화 ‘벨파스트’에 등장하는 소년 버디는 케네스 브래너 감독의 허구적 분신이다. 북아일랜드의 도시 벨파스트에서 태어난 브래너 감독은 많은 영화와 TV, 풍부한 상상적 경험을 바탕으로 현실을 알아가는 버디의 이야기에 관객이 즐거워하고 벨파스트의 정신과 활력, 생기 넘치는 유머를 통해 우리는 혼자가 아니라는 위안을 받았으면 하는 바램을 전했다.



2022 미국배우조합(SAG) 시상식에 주연배우들과 함께 참석한 그는 “버디를 실감나기 연기한 신인 주드 힐을 비롯해 파역의 제이미 도넌, 마역의 케이트리오나 발피, 팝역의 시아란 힌즈, 그래니역의 주디 덴치까지 ‘선물’ 같은 배우들을 만나 유머와 인간애로 가득한 영화를 관객들에게 선사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눈부신 햇살 아래 골목을 점령한 아이들, 거리에서 음악에 맞춰 춤을 추는 주민들을 비추던 목가적인 풍경이 폭도들의 등장으로 혼돈에 빠지는 도입부부터 이 영화의 출발점은 아홉 살 소년 버디의 상상력이다. 벨파스트는 버디가 아는 유일한 세상이다. 그런 버디의 세상이 폭도들에 의해 바뀌기 시작한다.

브래너 감독이 아홉 살이던 1969년 8월 벨파스트는 종교적 분쟁으로 폭력사태가 발생했다. 벨파스트 북부는 극심한 타격을 입었으며 특히 많은 민간인들이 사망했다. 당시 벨파스트 시민들은 높은 임금을 주는 영국으로 통근을 했는데 폭동 이후 바리케이드가 세워지면서 가족과의 만남조차 허락되지 않았다. 역사적 배경을 보면 아일랜드는 1921년 북부 얼스터 지방의 6개주만 독자적인 의회를 구성하는 조건으로 영국의 일원으로 북아일랜드가 남았다. 1949년 아일랜드 공화국이 선포됐지만 영국에 남은 북아일랜드는 영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주장하는 구교 세력과 영국 잔류를 요구하는 신교 세력의 투쟁이 극심했다. 이로 인해 불안과 공포에 빠진 북아일랜드 노동자들은 가족의 반대에도 정든 동네를 떠나는 선택을 해야했다.



사진2. 트럭 위에 올라선 버디(주드 힐)가 벨파스트의 평온했던 일상이 폭도들에 의해 파괴되는 모습을 바라보고 있다./사진 제공=Focus Features

흑백영화와 컬러TV가 공존하던 시기 소년기를 보낸 브래너 감독은 마와 파, 그래니, 형 윌과 극장 나들이를 한 버디가 마주한 영화의 첫인상을 황금빛 순간으로 표현한다. 케네스 감독는 “스티브 맥퀸 주연의 ‘대탈주’를 극장에서 봤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다. 압도적인 스크린, 웅장한 사운드에 빨려들어가 입을 다물지 못했다. 마치 다른 세계로 순간 이동한 것 같았다”며 그 당시를 떠올렸다. 선명한 색상의 화려한 스펙터클을 통해 TV와 경쟁을 펼친 그 시대 영화를 ‘할리우드 블랙 앤 화이트’라 부른다는 걸 나중에 알았다는 그는 “평범한 일상이지만 화려하고 서사시적인 느낌을 내는, 카티에르 브레송의 흑백 포토저널리즘 같은 그런 영화를 만들고 싶었다”고 말했다.

벨파스트에 남기로 결정한 그래니(주디 덴치)가 떠나는 가족을 먼 발치에서 바라보며 “뒤돌아보지 말라”고 혼잣말 하는 장면은 긴 여운을 남긴다. 시력이 나빠져 더 이상 대본을 읽기 힘든 주디 덴치를 캐스팅하기 위해 직접 집으로 찾아가 1시간 30분 동안 그녀의 주변을 맴돌며 시나리오를 읽었다는 브래너 감독의 절실함이 너무도 이해가 간다. 애거사 크리스티의 추리소설 ‘나일 강의 죽음’ ‘오리엔트 특급살인’의 감독이자 탐정 에르큘 포와르역을 연기한 배우인 케네스 브래너가 읽어준 ‘벨파스트’의 대사들에 주디 덴치는 1분도 망설이지 않고 출연제의를 수락했다고 한다.

케네스 브래너 감독의 영화 ‘벨파스트’는 2021년 토론토 국제영화제 관객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흑백 영화지만 색을 뿌려 ‘컬러의 마법’을 활용한 수작으로 ‘벨파스트의 전설’ 밴 모리슨이 담당한 영화음악이 레트로 감성을 충만하게 만든다. / 하은선 미주한국일보 부국장, HFPA 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