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수도권 공공의료원 떠나는 간호사들…"업무 과중, 열악한 처우 못참아"

'코로나 입원' 수도권지역 몰려

지친 간호사들 작년 퇴직률 15%

"고질적 인력 부족과 처우 문제"

민주노총 의료연대본부가 2021년 9월 15일 서울시청 앞에서 코로나19 간호인력 기준 발표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민주노총 의료연대본부가 2021년 9월 15일 서울시청 앞에서 코로나19 간호인력 기준 발표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가 20만 명을 넘어서는 등 확산세가 거센 가운데 수도권 공공 의료원을 떠나는 간호사는 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공공 의료원을 비롯한 공공 의료기관이 코로나19 입원 환자 대부분을 돌보고 있다는 현실을 고려했을 때 간호사들의 이탈이 더 늘어날 수록 현장의 의료 마비 현상도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간호사들의 퇴직 행렬은 고질적인 처우 문제에 코로나19로 인한 업무 폭증이 더해진 결과라는 지적이 나오지만 정부가 최근 ‘코로나19 확진 의료진의 3일 격리 후 현장 복귀’ 지침까지 내놓으면서 현장의 혼란은 더 커지고 있다.






6일 서울경제가 국립중앙의료원 및 서울·경기·인천의료원 등 수도권 공공의료원 4곳의 간호사 퇴직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이들 의료원에서 근무한 2258명의 간호사 중 339명(15.01%)이 병원을 그만둔 것으로 나타났다.



4개 공공 의료원의 간호사 퇴직률은 지난 2018년 17.3%, 2019년 16.4%에서 코로나19 확산 초기였던 2020년 10.3%으로 줄었지만 지난해 들어 다시 증가했다. 인력 이탈이 이어지면서 공공 의료원 전체 간호사는 2020년 말 기준 2254명에서 지난해 말 2258명으로 고작 4명 늘어나는데 그쳤다.

관련기사



의료계에서는 고질적인 간호사 인력 부족 및 처우 문제가 코로나19 이후 더욱 심해지면서 공공 의료원 간호사들의 퇴직률이 증가한 것이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수도권의 한 공공 의료원에서 일하는 40대 간호사는 “코로나 환자를 돌보는 정규 간호사보다 파견 간호사가 수당을 더 많이 받다보니 정규 간호사들의 불만이 크다”며 “코로나 병동이 생기면 일반 병동 간호사들의 업무 강도도 같이 늘어나는데 수당은 코로나 환자를 돌보는 인력을 대상으로만 나오니 지쳐서 퇴사하는 이들도 많다”고 전했다.

권은혜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정책국장은 “공공의료원과 국립대병원에는 중증 코로나 환자가 많은데 간호사들이 일이 힘들다며 퇴사하는 경우가 많다보니 의료계 전체적으로 중환자를 돌볼 수 있는 인력이 부족하다”며 “허리 역할을 하는 간호사들의 업무 부담이 심해져 퇴사자가 늘어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최종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건강보험공단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 1월부터 2021년 7월까지 발생한 코로나19 입원 환자 15만 8000명 중 70%에 달하는 10만 7000명이 공공의료기관에서 치료를 받았다.

오선영 보건의료노조 정책국장은 “공공의료기관은 애초에 민간병원에 비해 간호사 처우가 열악한 편인데 코로나 이후로 업무까지 어마어마하게 늘었다”며 “코로나 환자 관리 인력이 받는 감염관리수당이 올해 일반예산에 편성돼 지급이 안정적으로 이뤄지게 된 것은 다행이지만 앞으로도 간호사 1인당 환자 수를 줄여주는 등의 처우 개선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중앙사고수습본부가 의료진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더라도 3일만 격리하고 업무에 복귀할 수 있다는 지침을 시행하면서 현장의 혼란은 더 커질 조짐이다. 의료연대본부는 지난 2일 성명에서 “7일조차도 코로나19 바이러스 전파의 위험이 있다는 연구가 있는 상황에서 환자의 기저질환과 중증도를 고려하지 않은 채 (확진된 의료진을) 3일만 격리하는 것은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태영 기자·조윤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