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끝난줄 알았던 택배 파업…택배노조 뒤에선 태업 지속

택배노조가 CJ대한통운 곤지암 메가 허브 진입을 시도하며 간선 차량 출차를 막고 있다./사진 제공=CJ대한통운택배노조가 CJ대한통운 곤지암 메가 허브 진입을 시도하며 간선 차량 출차를 막고 있다./사진 제공=CJ대한통운




민주노총 택배노조가 택패 파업 종료를 선언하고도 태업을 지속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CJ대한통운 대리점연합은 7일 “파업으로 국민에게 피해를 입혀 죄송하다고 사과까지 한 택배노조가 현장 복귀 과정에서 갑자기 돌변해 서비스 정상화를 거부하고 있다”며 “택배노조의 황당한 돌변은 국민을 기만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택배노조가 지난 4일 긴급지침을 통해 파업은 중단하지만 태업은 계속하겠다는 내용의 긴급지침을 조합원들에게 하달했다는 주장이다. 대리점연합에 따르면 택배노조 지침에 따라 현재 강성 조합원이 밀집된 경기도 성남과 광주, 울산, 경남 창원, 강원 춘천 등 일부 지역에서는 개별 대리점과 노조원 사이의 복귀 논의가 중단된 상태로 알려졌다.



앞서 대리점연합과 택배노조가 지난 2일 서명한 공동합의문 2항에는 “모든 조합원은 서비스 정상화에 적극 참여하고, 합법적 대체배송을 방해하지 않는다”고 명시됐다. 이와 관련 대리점연합은 “태업은 서비스 정상화가 아닌 서비스 차질이며 명백한 공동합의문 위반”이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택배노조가 보인 태업 행태는 △오전에 임의로 배송을 출발해 이후 도착하는 고객 상품은 다음날 배송하는 도착상품 지연인수 △임의로 정한 일부 상품의 배송거부 (미배송 상품은 대리점장 등이 직접배송) △토요일 배송해야 할 상품을 월요일에 배송하는 토요 배송 거부 등이다.

대리점연합은 “대국민 사과까지 했던 노조 지도부가 손바닥 뒤집듯 합의를 뒤집어 90.4%의 찬성 표를 던졌던 조합원들조차 당황하는 분위기”라며 “파국이 발생할 경우 모든 책임은 택배노조 지도부에 있다는 점을 분명하게 밝힌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대리점연합은 “태업을 지속하는 것이 서비스 정상화라고 하면 어떤 고객이 우리를 믿고 배송을 맡기겠느냐”며 “‘서비스 정상화’는 그동안 불편과 심려를 끼친 고객과 택배종사자에 대한 진정성 있는 사과의 태도를 보여주는 것”이라며 “택배노조에서 합의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대리점 입장에서는 법과 원칙에 따라 대응해 나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