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의협, 정부 섣부른 방역완화에 일침 "정점지난 후 시행해야"

의협 코로나19 대책전문위원회 입장문 발표

질적 방역정책 수립·경구용 치료제 허용기준 확대 권고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연일 20만명대를 기록 중인 8일 서울 중랑구 서울의료원의 구급대원들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연합뉴스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연일 20만명대를 기록 중인 8일 서울 중랑구 서울의료원의 구급대원들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연일 20만 명을 웃도는 가운데 의료계가 정부의 방역 완화 기조에 제동을 걸었다.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에 스텔스 오미크론의 출현으로 감염자 수가 폭증하면서 사망자가 늘어나고 있어 의료시스템 마비가 우려된다는 입장이다.



대한의사협회 코로나19 대책전문위원회는 8일 코로나19 감염 폭증 관련 입장문을 내고 "정부는 환자 발생 규모가 정점에 이르지 않은 상태에서 성급하게 방역 정책을 완화하고 있다"며 "방역 완화를 멈추고, 환자 발생추이를 보면서 정점이 지난 이후 시행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관련기사



의협은 감염 우려와 위험군 등 개별 상황에 따라 방역지침을 차등 적용하는 질적 방역정책 시행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구체적으로는 요양병원, 정신병원, 요양원과 같이 취약계층이 있고 집단감염이 우려되는 공간이나 밀집도가 높은 곳, 밀폐된 사업장 등은 3∼4단계를 유지하고, 일상 활동이나 회의장소, 식당 등의 공간에서는 완화를 허용하는 안을 내놨다.

또한 의료진 감염으로 역량이 현저하게 떨어진 의료기관의 기능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고,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드'를 충분히 확보해 처방 범위를 전면 확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의협은 "섣부른 방역 완화는 국민에게 잘못된 정보와 인식을 주게 되고 감염병 대유행을 통제 불능 수준으로 악화할 수 있다"며 "정부는 의료계의 권고를 유념해 방역 완화 지침을 재고해달라"고 거듭 강조했다.


안경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