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물가 전면전 선포한 한은이 고용부 통계 주목하는 이유 [조지원의 BOK리포트]

임금·물가 악순환 경계감 확대

정액급여 인상률 중점 모니터링

작년 1분기 2.7%→4분기 3.7%

6일 오후 서울 잠실새내역 인근 식당가의 모습. /연합뉴스6일 오후 서울 잠실새내역 인근 식당가의 모습.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지난달 경제 전망에서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3.1%로 한껏 올려 잡으면서 물가가 통화정책의 핵심 이슈로 부상했다. 특히 기업 제품가격과 임금 인상이 상호 영향을 주면서 높은 인플레이션이 장기화될 수 있는 만큼 각종 고용 지표를 눈여겨보는 상황이다.



10일 한국은행은 통화신용정책보고서를 통해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불안해질 경우에는 임금·물가 상호작용을 통해 최근의 높은 물가 오름세가 장기화될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개월 연속 3%대로 높은 수준을 기록한 가운데 기대인플레이션마저 2%대 후반대로 상승한 만큼 물가 충격의 2차 효과가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는 경계심이 커진 것이다. 지난달 물가 전망치 상향 조정에 이어 인플레이션 장기화를 경고하며 사실상 물가와의 전면전을 선포한 셈이다.

물가가 계속 오를 것이란 기대가 형성되면 기업들은 원자재 가격 인상분을 반영한 것보다 더 높게 제품 가격을 책정한다. 그렇게 되면 물가 상승에 대응해 실질구매력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임금을 올리고, 임금 상승에 다시 물가가 오르는 악순환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국제유가 상승 등 공급 측면 물가 상승 압력은 일시적인 현상에 그칠 수 있지만 이러한 2차 파급영향은 구조적인 인플레이션이 될 가능성이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b·연준) 역시 이와 같은 임금·물가 악순환(wage-price spiral)을 우려하는 상태다.



따라서 한은은 2차 파급효과가 나타났는지 살펴보기 위해 고용노동부의 ‘사업체노동력조사 보고서’ 중에서도 정액급여 인상률을 주목하고 있다. 정액급여는 기본급에 통상적 수당과 기타수당을 합친 것으로 상여금·성과급 등 특별급여와 연장·야간·휴일근로 수당 등 초과급여와 구분된다. 지난해 7월 전체임금이 전년 동월 대비 6.9% 오르는 등 높은 상승세가 나타났으나 대부분 기저효과에 경기회복에 따른 상여금 지급 확대 영향인 만큼 정액급여를 살펴봐야 한다는 설명이다.

관련기사



10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신용정책보고서(2022년 3월) 설명회. 왼쪽부터 최창호 조사총괄팀장, 박종석 부총재보, 홍경식 통화정책국장, 우신욱 정책협력팀장. / 사진제공=한은10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신용정책보고서(2022년 3월) 설명회. 왼쪽부터 최창호 조사총괄팀장, 박종석 부총재보, 홍경식 통화정책국장, 우신욱 정책협력팀장. / 사진제공=한은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명목임금 상승률도 4.6%로 지난 2019년(3.4%)과 2020년(1.1%) 대비 높은 수준이다. 다만 한은이 주목하고 있는 정액급여 상승률은 3.4%로 지난 2020년(2.2%)보다는 높지만 2019년(4.1%)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다만 분기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1분기 2.7%에서 2분기 3.5%, 3분기 3.6%, 4분기 3.7% 등으로 점차 상승하고 있다.

한은은 우리나라에서도 일부 인력난이 발생하고 있지만 전반적인 노동시장 수급불균형과 임금 상승 압력이 미국이나 영국에 비해 크지 않다고 평가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정액급여 상승률이 4.0%로 2016~2019년 평균(3.9%)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반면 미국은 올해 1월 시간당 임금상승률이 5.7%로 코로나19 이전인 2016~2019년 평균(2.9%) 대비 큰 폭으로 높아졌다는 설명이다. 영국도 지난해 12월 주당 임금상승률이 4.9%로 2016~2019년 평균(2.8%)보다 높다.

하지만 국내에서도 상용직을 중심으로 정액급여 증가세가 나타나는 상황이다. 지난해 4분기 명목임금 증가율은 5.2%로 상승 추세를 기록했는데 기저효과나 특별급여 영향도 있지만 정액급여 증가세도 영향을 주고 있다. 최근 카카오가 올해 임직원 인건비 예산을 전년 대비 15% 늘리기로 하는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임금 인상에 속도가 붙는 상황이다. 한은 관계자는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확산에 따른 임금 측면의 물가 상승 압력에 대해서도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것”이라고 했다.

※ ‘조지원의 BOK리포트’는 국내외 경제 흐름을 정확하게 포착할 수 있도록 한국은행을 중심으로 경제학계 전반의 소식을 전하는 연재입니다.


조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