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페이스북, 푸틴 겨냥한 혐오콘텐츠 허용한다

'러 정치인' 한정 정치적 혐오 표현 일시 허용

러 정부, 페이스북 등 서방 SNS 접속 차단

미국 소셜미디어 페이스북이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응해 러시아 정치인을 향한 폭력적 콘텐츠를 일시적으로 허용한다고 지난 10일(현지시간) 밝혔다. /AFP 연합뉴스미국 소셜미디어 페이스북이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응해 러시아 정치인을 향한 폭력적 콘텐츠를 일시적으로 허용한다고 지난 10일(현지시간) 밝혔다. /AFP 연합뉴스





페이스북이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 등 러시아 정치인을 겨냥한 폭력적 콘텐츠 게시를 일시적으로 허용한다. 러시아는 현재 중국, 북한과 함께 페이스북을 차단하는 극소수 국가 중 하나다.

관련기사



지난 10일(현지시간) AFP 통신에 따르면 페이스북 모회사인 메타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응해 '러시아 침공자에게 죽음을'과 같이 평소에는 규정에 어긋난 정치적인 표현을 일시 허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메타는 "다만 러시아 민간인들에 대한 폭력적인 표현은 계속해서 허용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조치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 때문에 서방에서 유례없는 제재를 받을 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도 대중의 분노를 사는 가운데 나왔다. 미국의 빅테크 기업들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제재를 가하자 러시아도 페이스북 등 주요 소셜미디어 네트워크 접속을 차단하는 등의 조치로 맞불을 놓았다. 그간 페이스북은 러시아에서 핵심 정보 등의 전달 역할을 해왔다고 AFP는 전했다.

한편 러시아에서는 이미 언론을 상당 부분 통제하고 있는 가운데에서 지난달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에는 정부의 지원이나 간섭을 받지 않는 독립 매체를 폐간시키는 등 압박을 가해왔다. 또 지난 4일 자국군에 대한 '가짜 뉴스'를 퍼트리는 행위에 대해 최고 징역 15년형을 부과할 수 있도록 언론통제법을 시행하고 SNS와 서방 언론사 웹사이트 접속을 차단했다.


이주희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