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의무 유지 기한' 종료되는 1기 청년몰…조기 폐장하거나, 활성화 시도하거나

11일 인천광역시 중구 신포시장 소재 청년몰 '눈꽃마을' 내 빈 점포에 11일 인천광역시 중구 신포시장 소재 청년몰 '눈꽃마을' 내 빈 점포에 "청년상인 모집 중"이라고 쓰인 안내문이 걸려 있다. 조윤진 기자




소자본을 가진 청년들에게 창업 기회를 제공하고 전통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시작된 ‘청년몰(mall)’ 사업이 올해로 분수령을 맞이했다. 2017~2018년 만들어진 초창기 청년몰들이 '5년 의무 유지 기한' 만료를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부진을 거듭하며 의무 기한이 끝나기만을 바라는 청년몰도 있는가 하면 다른 한편에서는 청년몰 사업 유지를 위한 활성화 대책을 적극 모색하고 있다.


2017~2018년 생긴 ‘1기 청년몰’, 의무 유지 기한 곧 만료…일부는 이미 폐장


11일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소상공인진흥공단에 따르면 현재 전국에 운영 중인 청년몰은 총 38곳이다. 이중 22곳(58%)은 지난 2017~2018년에 조성된 초창기 청년몰로, 올해와 내년에 ‘5년 의무 유지 기한’이 종료된다. 소상공인진흥공단의 사업 지침에 따르면 청년몰로 선정된 민간 건물은 5년 동안 만 39세 이하 청년상인 이외 일반상인을 청년몰에 들일 수 없는 등 제한을 받는다. 이에 따라 의무 유지 기한인 5년이 지나면 청년몰 자체를 폐장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일부 청년몰은 일찌감치 ‘애물단지’로 전락해 의무 유지 기한이 끝나기만을 바라고 있다. 부산 중구는 지난 2018년 국제시장에 청년몰 ‘109인(in)’을 조성했지만 1년여 만에 입점했던 청년상인들이 죄다 떠나면서 문을 닫았다. 부산 중구청에 따르면 해당 공간은 이미 정리된 지 오래지만 5년 기한 충족을 위해 2년째 텅 비어 있는 상태다. 지난 2017년 정부와 군청이 각각 5억 원씩 총 10억 원을 들여 조성한 인천 강화군 청년몰 ‘개벽2333’은 올해 1월 청년몰 폐장을 결정하기도 했다. 개벽2333은 지난해 5월 남아있던 가게 1곳마저 떠나면서 폐장 8개월 전부터 방치됐다.


대다수 청년몰은 사업 지속 여부 결정 못해…인천·여수 등 활성화 시도도 속속


관련기사



대다수 지자체는 아직 청년몰 사업 지속 여부에 대한 구체적인 결정을 내리지 못했다. 지난 2018년 금산시장에 ‘금빛청년몰’을 조성한 충남 금산군청 관계자는 “최장 계약기간이 5년으로 설정돼 있어 개장 당시 최초 입점한 청년상인들은 올해 9월 30일 계약이 만료된다”며 “이들에 대한 계약 연장 여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아 검토를 해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청년몰 ‘눈꽃마을’이 위치한 인천 중구청 관계자도 “사업 의무 기한 종료되는 내년부터 청년몰을 어떻게 운영할지 아직 구의회에서 정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오는 6월 치러질 지방선거도 중요한 변수다. 청년몰 사업을 담당하는 전남의 한 지방자치단체 관계자는 “전임자가 해둔 것을 더 빛나게 하면 전임자의 실적이 올라가는 것으로 여겨지다 보니 새 시장이 당선된다면 신임자가 청년몰 사업에 얼마나 관심이 있느냐에 따라 달라질 가능성이 있다”며 “아울러 청년몰이 없어지지는 않아도 상권 자체가 어르신들 위주다 보니 만 39세 이상 중에 입점을 희망하는 사람도 많아서 건물주가 5년 기한 종료 후 나이 제한을 풀어달라고 하면 바뀔 수 있다”고 귀띔했다.

이에 각 지자체와 지역 내 청년상인들은 속속 ‘청년몰 살리기’에 나서고 있다. 지난 2018년 6월 인천 신포 청년몰 ‘눈꽃마을’ 입주 상인들은 지난해 말 소진공이 모집한 오프라인 행사지원 사업에 참여한 데 이어 최근에는 온라인몰에도 상품을 입점하는 등 활성화를 꾀하고 있다. 지난해 8월께 영업률이 54%대에 불과했던 전남 여수중앙시장 소재 청년몰 ‘꿈뜨락몰’은 지자체 주도 활성화 사업 등을 통해 영업률을 최근 81%까지 끌어올렸다.

수십억 들인 청년몰 ‘일회성’ 벗어나려면…"전문성 있게 관리해야" “상인 책임감 필요”


국비 수십억 원을 들인 사업이 ‘5년짜리’ 일회성으로 전락하지 않기 위해서는 사업 관리의 불연속성, 비전문성 등 문제점이 개선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수도권의 한 청년몰에서 공방을 운영 중인 30대 장모 씨는 “담당자가 1년마다 바뀌어서 같은 말을 반복하는 경우도 많아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 같다”고 말했다. 청년몰 사업 및 관리를 담당하는 수도권의 한 지자체 관계자는 “컨설팅, 소상공업 등에 전문성을 갖추지 못한 관리자가 그냥 사업을 담당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며 “전문가가 지속성과 주도권을 가지고 청년몰을 관리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청년몰에 입점하는 청년상인들의 책임감이 중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박유진 전국청년상인네트워크 경기?인천 권역 대표는 “지역 활성화나 공동체를 이뤄 진행하는 사업에 대해 무관심한 채 가벼운 마음으로 들어오면 결국 오래 버티지 못하는 것 같다”며 “청년몰 입주 상인들은 시중의 다른 점포보다 월세 지원 등을 받고 있는 만큼 청년상인들의 책임감도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올해는 섣불리 청년몰 사업을 확장하기보다 현재 운영 중인 청년몰을 지원하는 데에 중점을 둘 계획이다. 소진공 관계자는 “2022년도 청년몰 신규 지원은 받지 않았다”며 “사업 방향이 기존 청년몰들을 더 활성화시키는 쪽으로 전환되면서 신규 조성 예산 대신 기존 청년몰 지원 예산이 조금 더 늘었다”고 설명했다.


조윤진 기자·장형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