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올해 공동주택 공시가 상승률 20% 밑돌수도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하락에

지난해보다 상승폭 낮아질 듯


정부가 이달 말 공개하는 올해 공동주택 공시가격 상승률이 지난해 수준인 20%를 밑돌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11월부터 이어진 아파트 실거래가 하락 흐름이 반영된 영향이다.

13일 국회와 정부 부처에 따르면 오는 22일 공개되는 올해 공동주택(아파트·연립·다세대) 공시가격 상승률은 서울과 전국을 기준으로 지난해보다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공동주택 공시가격은 서울에서 19.9%, 전국에서 19.1% 올랐다. 국회와 정부 관계자는 “지난해 11월 이후부터 실거래가 하락 사례가 늘면서 (시장이) 하향 안정되는 모습을 보였다”며 “올해 전국과 서울의 공시가격 상승 폭은 지난해보다는 낮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시장의 상승률 예상치인 20~30%보다 낮다. 당초 시장에서는 지난해 전국·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률이 전년도 대비 두 배 이상인 점을 근거로 들어 올해 공시가격 상승률이 20%를 웃돌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서울시는 최근 “지난해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이 전년 대비 2배인 점을 고려하면 서울 공동주택 공시가격은 지난해보다 30% 이상 상승할 것”이라고 예측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그러나 실제 거래 사례만을 바탕으로 작성되는 실거래가지수가 지난해 하반기 하락하고 한국부동산원이 이를 공시가격에 적극적으로 반영하며 공시가격 상승률 또한 예상치보다는 낮아지게 됐다. 실거래 가격만을 기준으로 산출하는 한국부동산원 서울 공동주택 실거래가지수는 지난해 1~10월 16.3% 올랐지만 이후 두 달 연속 하락해 연간 상승률은 14.2%를 나타냈다. 이는 2020년(20.8%) 대비 6.6%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공시가격 로드맵상 올해 공시가격 현실화율은 지난해 대비 2.5%포인트 상승하지만 이보다 실거래가 상승 폭 축소 영향이 더 커 공시가격 상승률 또한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서울·전국과 달리 지난 한 해 급격한 아파트 가격 상승 흐름을 보인 경기와 인천에서는 공시가격 상승률이 30%에 육박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덕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