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얼어붙은 투자 심리에 보로노이, 코스닥 IPO 철회

수요 예측서 특례 상장 요건 미충족

"우크라이나 사태 등 시장 불안정"





보로노이는 금융감독원에 상장 철회신고서를 제출했다고 16일 밝혔다. 우크라이나 사태, 러시아 제재 등 증권 시장 여건 악화에 따라 특례 상장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면서 보로노이 측이 곧바로 기업공개(IPO)를 자진 철회했다.



보로노이 관계자는 "공모가 확정을 위한 기관 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을 14~15일 양일간 실시했으나 최근 변동성이 높아진 시장 환경 속에서 당사의 기업가치를 정확하게 평가받기 어려운 측면 등 제반 여건을 고려하여 잔여 일정을 취소하고 철회신고서를 제출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최근 국내 증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 미국 FOMC 금리인상 움직임 등으로 인한 대외 시장 불안정으로 높은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보로노이는 기업 가치 재평가와 투자자 보호 측면 등 상장 이후 상황을 다방면으로 고려해 대표 공동 주관회사인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과 협의 후 상장 철회를 결정했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앞서 보로노이는 유니콘(시장평가 우수기업) 특례 상장 1호 기업으로 선정돼 기술성 평가와 함께 시가 총액 5000억 원을 넘기면 코스닥 상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됐다. 하지만 최종 수요 예측에서 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보로노이는 연구개발 및 기술이전 등 기업가치 강화에 더욱 매진하겠다는 계획이다. 실제 최근 2년간 3건의 미국 기술수출을 포함해 총 4건의 기술이전(License-Out)을 성사시켜 2조 1000억 원이 넘는 트랙 레코드를 보유하고, IPO 예정 기업 사상 최대 규모 기술수출 실적을 기록한 바 있다.

김대권 보로노이 대표는 "최근 혼란스러운 시장 분위기 속에서도 보로노이에 큰 관심을 가져주신 투자자분들께 다시 한번 감사드린다"며 "보로노이의 미래 성장성이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는 만큼, 핵심 경쟁력 강화에 매진하며 향후 시장 안정화 시점을 고려해 상장에 재도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재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