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中, "중증환자만 병원 격리한다"…확진자 폭증 대비 병상 확보 차원

15일 보건당국, 코로나19 대응방안 수정안 제시

먹는 치료제 사용, 신속항원검사도 병행키로

중국 지린성 창춘에 15일 코로나19 환자들을 위한 임시 병원이 마련돼 있다. 신화연합중국 지린성 창춘에 15일 코로나19 환자들을 위한 임시 병원이 마련돼 있다. 신화연합




중국이 폭증하는 코로나19 확진자에 대응하려 중증환자만 병원에 격리하기로 했다. 경증환자는 병원 대신 시설에 격리하며 병상 부족에 대비하기로 했다.



16일 중국 중앙(CC)TV에 따르면 보건당국인 국가위생건강위원회(위건위)는 전날 코로나19 진료 방안을 수정했다.

위건위는 코로나19 감염자를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핵산증폭(PCR) 검사와 신속항원검사를 병행하기로 했다. 중증이 아닌 무증상 감염자와 경증환자 등 치료가 필요 없는 대상은 병원 대신 시설에 격리하기로 했다.



일반 환자나 중증 환자는 기존 대로 병원에서 치료하고 격리 중 환자의 상태가 악화하면 병원으로 이송 한다.

관련기사



화이자가 개발한 코로나19 먹는 치료제인 '팍스로비드' 등을 진료에 사용하고, 침술 등 비약물요법도 치료에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위건위는 "새로운 진료방안은 델타 변이와 오미크론 변이 등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분석한 토대에서 마련한 것"이라며 "코로나19를 더 잘 치료하고 진료 수준을 높이기 위해 전문가들과 함께 논의해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중국에도 오미크론 변이가 확산됨에 따라 전체 감염자의 상당수가 중증 환자가 아닌 것으로 파악된다. 중국 전체 확진자가 몰려있는 지린성의 경우 감염자의 95%가 무증상이거나 경증 환자로 알려지고 있다.

백신 접종도 강화한다. 중증 환자로 확산될 수 있는 노인들에 대한 백신 접종률을 높이는 데 속도를 낼 계획이다.

위건위에 따르면 위중증 환자 3명 중 2명은 60세 이상이고, 이들의 65%는 백신을 접종하지 않았다.

위건위 관계자는 "80세 이상 노인에 대한 백신 접종을 추진하고 있다"며 "지난 14일까지 60세 이상 노인 2억명에 대해 접종을 완료했다"고 설명했다.


베이징=김광수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