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솔닥, 연세대 AI 특허 기술 확보…“헬스케어 데이터 기업 도약”

‘문장 데이터 클래스 분류 위한 신경망 학습방법’ 특허 취득

AI 성능 향상…이용자 헬스케어 데이터 수집·분석에 활용 계획





비대면 진료 플랫폼 솔닥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진료 데이터 분석 관련 특허 기술을 확보했다. 기술케어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용자들의 헬스케어 데이터 수집?분석 역량을 강화해 헬스케어 데이터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다.

솔닥은 최근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과 ‘문장 데이터 클래스 분류를 위한 신경망 학습 방법’ 특허에 대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신경망 학습은 인간의 뇌를 본따 개발된 기계학습 모델로 AI의 성능 향상에 사용된다. 솔닥은 이전 받은 기술을 이용자들의 헬스케어 데이터를 수집?분석하는 데 활용할 예정이다.



솔닥은 카카오톡 챗봇과 영상통화 기능을 바탕으로 비대면 진료와 처방약 배송 서비스를 제공 중인 업체다. 이와 별개로 AI 등 헬스케어 기반 기술 개발에도 힘을 쏟아왔다. 지난해 5월 자체 개발한 ‘원격진료 분야 서버?프로그램 기술’에 대한 특허를 출원한 데 이어 같은 해 12월 연세대와 ‘의료?헬스케어 데이터의 수집 및 인공지능 분석’ 기술에 대한 특허를 공동 출원한 바 있다.

관련기사



최근에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비대면 의료 특화 기업’,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창업성장 기술개발 디딤돌 사업’ 등 다수의 국책 연구과제를 수주하며 기술력을 높여나가는 중이다. 지난해 12월에는 이 같은 성과를 인정받아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기술혁신형중소기업’(이노비즈) 인증을 취득했다.

솔닥 관계자는 “지난해 8월 기업 부설 연구소를 설립하면서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며 “이번 계약으로 AI 기반 헬스케어 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술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전 세계적으로 원격의료 시장의 규모가 커지고 코로나 19의 확산으로 인해 비대면 진료에 대한 수요가 크게 높아지면서 국내에서도 AI를 활용한 의료진단 기술에 대한 특허 출원 건수가 급증하는 추세다. 특허청에 따르면 2016년 19건에 불과했던 ‘인공지능 결합 의료진단법’ 분야 특허 출원은 2017년 46건, 2018년 108건, 2019년 145건, 2020년 270건으로 늘어나며 5년간 연평균 94%의 증가세를 보였다.

솔닥 관계자는 “최근 코로나 19 재택치료자가 150만 명을 돌파하면서 비대면 진료에 대한 사회적인 수요가 크게 늘어났다”며 “진료 현장에서 수집된 빅데이터를 이용자들의 건강 개선에 활용할 수 있도록 기술 개발에 더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안경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