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인천 "드론이 택배 배달하는 시대 온다"

국토부 공모 선정, 광역단체 유일

대기환경 조사 등 실증사업 가시화

인천시 관계자가 대기 환경 조사를 위해 드론을 날리고 있다. 사진 제공=인천시인천시 관계자가 대기 환경 조사를 위해 드론을 날리고 있다. 사진 제공=인천시




앞으로 인천 하늘에서 드론이 물건을 배송하고 대기환경을 조사하는 등의 드론 기반 실증사업이 본격화된다.

인천시는 올해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과 ‘드론 규제 샌드박스사업’이 정부 공모에서 선정됨에 따라 최근 국토교통부와 협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에는 9개 지방자치단체가 선정됐으며 광역단체 중에서는 인천이 유일하다.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은 지자체가 지역 특성에 맞는 드론 활용 모델 등을 발굴· 제안하고 드론 활용 모델 및 서비스를 실증하는 프로젝다. 드론 규제 샌드박스사업은 민간이 보유한 우수 기술의 조기 상용화를 유도하고 국내 드론시장 활성화를 위해 드론 기술 개발 및 활용 시험을 추진하는 사업이다.

관련기사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에는 2년간 36억 7000만 원(국비 23억 7000만 원, 시비 13억 원)이 투입된다. 인천테크노파크, 한국항공대, 위즈윙, 엑스드론, 모아이스, 이노팸 6개 기관이 참여해 수도권매립지 대기환경, 연안 갯벌 생태계, 아라뱃길 교량 안전관리 등 공공 분야에서 드론 활용 방안을 모색한다. 기존 폐쇄회로TV(CCTV) 중심의 평면적 관리에서 입체적 관리로 전환하는 것이 목표다.

드론 규제 샌드박스사업은 기업의 상업 활동에 드론을 활용하는 사업이다. 총 3억 원이 투입되며 파블로항공과 삼영물류가 참여한다. 최근 인터넷쇼핑 등 전자상거래 증가로 물류가 급증함에 따라 물류센터간 배송에 드론을 활용하고 도심환경에서 물품 배송을 실증한다.

박영길 인천시 해양항공국장은 “그간 쌓아온 ‘드론 공공서비스 활성화사업’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번 국토부와의 협약사업도 성공적으로 수행해 드론을 활용한 공공 서비스나 도심 물류배송이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인천시는 지난 2017년부터 공공 서비스 분야에 드론을 활용한 시범사업을 발굴하고 갯벌을 황폐화시키는 갯끈풀 관리, 미세먼지 관리, 해수욕장 안전관리 등 환경과 안전관리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드론을 활용해왔다. 지난 2월에는 위성과 드론 등 첨단 장비를 활용해 해양쓰레기를 관리하는 해양수산부 ‘지역밀착형 오션뉴딜사업’을 유치한 바 있다.

인천=장현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