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러시아 반격…자국내 체류 외국항공기 압류 추진

푸틴 반제재법 서명…러 승인 없인 임대항공기 회수 못해

러시아 내 임대업체 소유 항공기 85%…124억 달러 달해

미국과 유럽연합(EU), 캐나다 등의 영공 비행이 금지된 러시아 항공사 소속 여객기들이 지난 1일(현지시간) 모스크바 셰레메티예보 국제공항에서 대기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미국과 유럽연합(EU), 캐나다 등의 영공 비행이 금지된 러시아 항공사 소속 여객기들이 지난 1일(현지시간) 모스크바 셰레메티예보 국제공항에서 대기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우크라이나 침공 후 서방의 경제제재로 항공산업이 큰 도전에 직면한 러시아가 서방 회사의 상업용 항공기 수백 대를 압류하는 절차에 나섰다.

지난 17일(현지시간) 미국 CNN 방송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러시아 항공사들이 미국·유럽 등 서방국가 업체에서 임대한 항공기들을 러시아에 등록할 수 있게 하는 반제재법에 서명했다고 보도했다. 이 법에는 러시아 항공사가 임대 항공기를 계속 보유하면서 국내 노선에서 운용할 수 있게 하고, 외국 기업은 러시아 정부 승인 없이 항공기를 회수하는 것을 어렵게 만드는 내용이 담겨있다.



앞서 미국과 유럽 국가들은 임대회사들에 러시아 항공사에 임대한 모든 항공기를 이달 말까지 회수하도록 하는 제재를 발표하기도 했다. 에어버스(EADSF)와 보잉(BA) 같은 서방 항공기 제조업체들은 이미 항공기 유지 관리와 안전 비행에 필요한 예비 부품에 대한 러시아 항공사의 이용을 차단한 상태다.

관련기사



항공 분석업체 시리움(Cirium)에 따르면 러시아 항공사들은 에어버스 항공기 305대와 보잉 항공기 332대를 운용하고 있으며 운용 중인 항공기 중 러시아 국내산은 144대에 불과하다. 외국에서 제작된 항공기의 85%는 임대업체 소유로 그 가치는 총 124억 달러에 달한다.

외국 임대회사들이 러시아 내 항공기 소유권을 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지는 불확실한 상황이다. 러시아 항공기의 해외 운항을 금지하는 제재로 러시아 항공사들은 현재 국내선만 운항할 수 있어서다. 임대회사들은 러시아의 이번 조치에 대한 논평 요구에 응하지 않았다.

하지만 러시아 항공사들은 임대한 항공기 정비에 필요한 부품을 이용할 수 없고 항공기의 안전성을 보증하는 유효한 감항능력(堪航能力) 증명서도 발급받을 수 없어 러시아 항공산업은 물론 경제 전체에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국제 싱크탱크 대서양위원회(Atlantic Council)의 찰스 리치필드 부국장은 "러시아는 국토가 미국의 두 배가 넘는 세계에서 가장 큰 국가로 경제가 돌아가게 하려면 자체 항공산업이 필요하다"며 "항공산업은 러시아 경제에 중요한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윤진현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