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국방부 답사한 권영세 인수위 부위원장 "대통령 집무실 언제 결정될지 저도 몰라"

인수위원들 18일 외교부 및 국방부 청사답사

대통령 집무실 이전 후보지 현장 점검 차원

권 부위원장 "北 위협 문제 당연히 고려할 것"

"인수위 차원서 이제 보고 받고 들여다 볼 것"

국방부 "이사시 20일간 24시간 돌려야 가능"

권영세(맨앞 가운데)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부위원장을 비롯한 인수위원들이 18일 오후 새 대통령 집무실 후보지인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를 둘러보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권영세(맨앞 가운데)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부위원장을 비롯한 인수위원들이 18일 오후 새 대통령 집무실 후보지인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를 둘러보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기존 청와대에서 대통령 집무실을 이전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가운데 유력 후보지인 외교부 및 국방부 청사에 대한 국방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현장답사가 이뤄졌다.



권영세 인수위 부위원장을 비롯한 주요 인수위원들은 18일 오후 서울 광화문 인근의 외교부 청사(정부서울청사 별관)을 방문한 데 이어 용산 국방부 청사를 잇따라 방문했다. 이중 국방부에선 본관 건물인 신청사와 시설본부 건물 등을 주로 둘러보며 이들 건물 옥상에서 관계 당국자로부터 비공개로 설명을 들었다. 만약 대통령 집무실이 국방부 신청사로 옮길 경우 현 시설본부는 청와대 경호실이 입주할 가능성이 있다.

권 부위원장은 국방부 현장에서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실이 제대로 기능할 수 있는 장소가 어디인지를 보겠다는 취지로 이번 방문의 취지를 설명했다. 또한 이번 대통령 집무실 이전 문제에 대해 국민의 여론이 좋지 않다는 취지로 질문을 받자 "(대통령 집무실이 외교부나 국방부 청사로 이전할 경우) 부수적으로 해당되는 부처들이 단절없이 업무 연속성이 유지가 되는지 여부, 비용 문제, 주변 지역 주민들이나 근처의 우리 국민들의 편리 여부, 뭐 이런 것들을 전반적으로 봐야 될 것"이라고 밝혔다.



권 위원장은 특히 북한의 탄도미사일·핵실험 위협 속에서 국방부 청사를 이전하게 되면 안보공백 우려가 크다는 지적에 대해 “그런 문제 당연히 고려해야 한다”고 답했다. 아울러 대통령 집무실이 용산으로 이전할 경우 국방부, 합동참모본부 등이 연쇄적으로 이동하는 것에 대해 국방부 내부적으로 우려가 많다는 질문에 “그럴 경우에는 연쇄적인 부분을 고려해야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권 부위원장은 외교부 현장방문에 대한 소감을 묻는 질문에 대해선 “외교부 나름대로의 장단점이 있다”며 “(장점으로는) 광화문쪽에 있다라는 것, 정부종합청사랑 붙어 있다라는 것, 뭐 이런 것들이 여러가지”라고 평가했다.

권 부 위원장은 이번 현장 방문 전에 관련 사안을 보고 받았는지에 대해 “TF(테스크포스)에서는 좀 보도를 받은 걸로 알고 있다”면서도 “인수위가 오늘 현판식을 했으니까 인수위차원에서 보고 받은 것 없다. 이제 보고를 받아야지 조금 더 들여다봐야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집무실 이전 부지가 언제쯤 결정될지에 대해선 “언제 결정이 될지는 저도 모른다”고 말을 아꼈다. 사실상 대통령 집무실 이전지를 내부적으로 결정해놓고 이번 답사를 보여주기식 절차로 진행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있다는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권 부위원장은 “굉장히 실례되는 질문”이라고 답하기도 했다.

한편 국방부 관계자는 이날 방문한 권 부위원장으로부터 대통령실 이전시 장애요소에 관한 질문을 받고 "국방부 전체가 이전하는 가용공간을 찾는 게 숙제"라고 답했다. 이어서 "결국 지금 쓰지 않았던 건물을 쓰게 되면 불편함과 업무 지연이 될 우려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국방부신청사에서 현재 근무 중인 인원은)1060명 정도”라며 “(만약 신청사로 대통령실이 이전할 경우 건물 구조가) 아파트처럼 사다리차를 댈 수 있는 구조가 아니라서 엘리베이터를 통해서 물동량을 이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사업체에 물어보니까 한 20일 정도, 24시간을 돌려야만 (신청사 전체의) 물동량을 뺄 수 있다고 가견적을 받았다”고 전했다.

국방부 청사에 앞서 외교부 청사를 찾은 인수위원들은 현장에서 40여분간 답사했다. 이들은 외교부 장·차관실 및 양자회의실, 리셉션 홀 등이 위치한 17~18층을 둘러본 뒤 전산 시설과 2층 대강당 등을 답사했다.

외교부 청사에는 외교 전문 송수신 등에 필요한 외교통신망이 갖춰져 있다. 외교부가 청사를 이전하면 외교통신망이 최소 3∼4주간 중단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재외공관들과의 소통 차질이 우려된다는 취지로 외교부의 설명이 인수위원들에게 이뤄졌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