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국민의힘, 지선 비례대표 후보자에게 ‘자격시험’…“상대평가 기준 넘어야 공천 신청”

이준석 “지선 비례대표 후보자부터 PPAT 적용”

허은아 “공관위 내주 구성…국민의당과 함께”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지난 1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 성형주 기자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지난 1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 성형주 기자





국민의힘이 오는 지방선거부터 비례대표 출마자를 결정하는 데 당 차원의 공직 후보자 역량 강화 시험(PPAT, People Power Aptitude Test)을 활용하기로 20일 결정했다.

관련기사



이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비공개 최고위원회를 가진 뒤 기자들과 만나 “많은 국민들께서 지금까지 투명하지 않다고 지적해온 기초의원·광역의원 비례대표 공천에서 자격시험을 의무 적용하기로 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PPAT는 이 대표의 당 대표 선거 당시 공약으로 지방선거 출마자들을 대상으로 정당법·지방자치법·정치자금법·당헌당규 들을 묻는 시험으로 정당사상 최초로 도입되는 제도다. 이 대표에 따르면 상대평가로 총 9등급으로 나뉘는 PPAT에서 기초의원 비례대표는 3등급(상위 35%), 광역의원 비례대표는 2등급(상위 15%) 이상을 받아야 공천을 신청할 수 있다. 이 대표는 “돈 공천의 고리를 끊고 민주적인 공천이 이뤄지는 기틀을 마련할 것”이라며 “아주 강한 등급 기준을 부여해 지역구 공천에도 PPAT 결과를 반영할 수 있도록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허은아 수석대변인에 따르면 국민의힘은 광역·기초지방자치단체장 후보에게 2회 이상의 토론회 개최를 의무화 한다.

국민의힘은 공천관리위원회 구성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허 대변인은 “이번 주 내로 공관위 구성은 마무리될 것”이라며 “지방선거 공천은 공관위 구성 단계부터 국민의당과 함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대선을 일주일 앞두고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와의 단일화를 성사시키겨 합당을 합의한 바 있다.

/ 연합뉴스/ 연합뉴스


주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