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 다음달부터 만 19~24세 청년에 대중교통 요금 20% 적립

오세훈 서울시장 ‘2025 서울청년 종합계획’ 발표

300만명 서울 청년 사업에 총 6조3000억원 투입

청년 관련 사업 당초 20개에서 전체 50개로 확대

월세 지원 5만명, 공공주택 5만 5000가구 공급

오세훈 서울시장이 23일 서울시청에서 ‘2025 서울청년 종합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서울시 유튜브 캡처오세훈 서울시장이 23일 서울시청에서 ‘2025 서울청년 종합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서울시 유튜브 캡처




서울시가 만 19~24세 청년의 교통비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대중교통 이용요금의 20%를 마일리지로 적립하는정책을 도입한다. 또 저축액의 두 배를 돌려주는 ‘희망두배 청년통장’는 올해 부양의무자 소득기준을 없애 문턱을 낮춘다. 지난 2020년 수립했던 청년 계획보다 8.8배의 예산을 투입해 실효성 있는 청년 대책을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23일 서울시청에서 ‘2025 서울청년 종합계획’을 발표하고 오는 2025년까지 청년 투자 예산을 6조 2810억 원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2020 서울형 청년보장’ 발표 당시 제시했던 금액 7136억 원보다 8.8배 늘어난 규모다.

2025 서울청년 종합계획은 크게 △청년 도약(1조 981억 원) △청년 구출(4조 968억 원) △청년 기회(1363억 원)으로 추진된다. 우선 청년 4차산업 기술인재 양성소인 ‘청년취업사관학교’를 오는 2025년까지 10개소 이상 조성해 실무형 인재 총 1만명을 키운다는 계획이다.



‘서울형 뉴딜일자리’에서는 공공일자리 비중을 줄이고 취업률이 높은 민간형 일자리의 비중은 높이는 방식으로 개편한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AI)·핀테크 등 신산업 분야 기업 발굴을 추진하고 일자리 2만개를 발굴한다.

관련기사



‘서울 영테크’는 1만명을 대상으로 시행하고 오는 2025년까지 총 5만명으로 확대한다. 청년이 올바른 재테크 지식을 가지고 체계적으로 자산을 형성해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전국 최초로 검증된 금융전문가가 맞춤 종합재무상담을 제공하는 사업이다. ‘희망두배 청년통장’도 더 많은 청년에게 기회를 주기 위해 올해부터 부양의무자 소득기준을 폐지한다.

‘청년 월세지원’은 올해 한시적으로 중앙정부 지원을 포함해 4만 6000명으로 확대하고 내년부터는 정부 지원 여부와 관계없이 연간 5만명으로 확대한다. 청년 월세지원은 청년 1인가구에 최대 10개월간 20만 원의 월세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청년·신혼부부를 위한 공공주택도 오는 2025년까지 5만5000가구 이상을 공급한다.

청소년 요금할인 혜택이 종료되는 만 19~24세 청년이 교통비 부담을 덜 수 있도록 다음달부터 대중교통 이용요금의 20%를 교통 마일리지로 적립해준다. 올해 15만명에게 지원을 시작하고 오는 2025년 30만명으로 확대한다. 하반기에는 잦은 이사로 비용 부담이 큰 청년들을 위해 1인당 최대 40만 원 상당의 이사비를 지원한다. 또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논문 검색, 전자책 구매 등에 연 10만 원 상당의 온라인 콘텐츠 이용권을 지급한다.

서울시와 중앙정부 등에서 추진하고 있는 약 1800개 청년정책을 한 곳에서 검색하고 나에게 필요한 정책을 적기에 신청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 ‘청년몽땅정보통’을 다음달 중 선보인다. 청년이 바라는 정책를 제시하고 우수 정책은 서울시 정책으로 채택하는 ‘청년정책 대토론회’를 매년 정례화하고 온라인 참여 플랫폼도 새롭게 구축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일자리, 주거 등 흩어져 있던 청년정책을 총괄 조정할 컨트롤타워인 국 단위의 ‘미래청년기획단’을 신설해 각 정책 영역별 핵심 추진 방향을 설정하고 청년 삶 전반을 실질적으로 바꿀 수 있는 정책을 마련했다”며 “불공정과 불평등을 온몸으로 느끼며 살아가고 있는 2030 청년세대가 희망을 갖고 다시 봄을 노래할 수 있는 ‘청년서울’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지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