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이후락-김일성 대화' 공개될까.. 정부, 1970년대 남북사료 공개 검토

통일부, 공개 근거 규정 마련… 심의회 통해 공개여부 결정키로

이인영(오른쪽) 통일부 장관이 노형욱 국토부 장관과 함께 지난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하고 있다./연합뉴스이인영(오른쪽) 통일부 장관이 노형욱 국토부 장관과 함께 지난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하고 있다./연합뉴스





통일부가 30년이 지난 남북회담 사료 등을 공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에 따라 1972년 이후락 중앙정보부장과 김일성 주석 간 대화 내용 등이 외부에 공개될지 관심을 끈다.

관련기사



23일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통일부는 남북회담사료의 공개 기준과 대상을 선정하는 절차 등을 규정한 ‘남북회담문서 공개에 관한 규정’을 제정했다. 주요 외교문서들이 30년이 경과하면 공개하는 점을 참고해 규정을 만든 것으로 알려졌다. 심의회에는 통일부 차관을 비롯해 외부 전문가 등이 참여할 예정이다. 올해 공개 여부를 결정할 심사대상에는 최초의 남북대화인 1971년 8월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남북 적십자 회담부터 1981년까지 10년 치 문서가 올라 있다. 이 가운데는 1972년 5월 이후락 중앙정보부장이 평양에서 김일성 주석과 만나 일궈낸 7·4 남북공동성명 관련 회담 자료도 포함돼 있다.

통일부는 심의회 개최가 종료되면 결과에 따라 이들 문서를 공개할 예정이다. 일각에선 북측 협상 관계자 등을 고려해 공개 여부가 극히 제한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그간 남북회담자료 등은 통일연구학자들로부터 끊임없이 공개 요구가 있었지만, 정부는 외부에 제공하지 않았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