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민주당, 용산 이전 총공세…일부 ‘지선 역풍’ 우려도

임종석, 통의동 집무실 가능성에 “아연실색”

속도조절 필요성도…유인태 “민주당에 감점”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공동비상대책위원장(가운데)이 2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이소영 비대위원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 연합뉴스윤호중 더불어민주당 공동비상대책위원장(가운데)이 2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이소영 비대위원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집무실 이전 발표에 더불어민주당이 연일 강도 높은 공세를 이어가고 있다. 당 내부뿐만 아니라 노무현·문재인 정부 청와대 출신 인사들까지도 비판 행렬에 동참하면서 사실상 현(現) 여권이 총동원되는 모양새다. 다만 일각에선 두 달여 앞으로 다가온 지방선거를 앞두고 신임 대통령에 대한 발목잡기 프레임에 갇히는 것을 우려하며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은 최근 자신의 페이스북에 “시간을 갖고 최소한의 절차를 지키자는 게 그렇게 어려운 얘기인가”라며 “때론 접어주는 것도 지도자의 미덕이다. 그 대상이 국민의 여론일 때 경청은 지도자의 의무”라고 지적했다. 임 전 실장은 윤 당선인이 취임 후 통의동 인수위 집무실에서 업무를 시작할 수 있다는 소식에 “아연시색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 “국민의 목소리를 외면하면서 국민과의 약속을 지키겠다는 것은 궤변이거나 고집에 불과하다”고 우려했다.



안민석 의원도 23일 라디오(CBS) 인터뷰에서 “청와대 이전은 점령군의 만행”이라며 “윤 당선인이 청와대 이전을 이사와 착각하는 것 같다. 청와대 안에는 안보, 국방뿐만 아니라 50개 종류의 위기관리센터가 있는데 전문가들에 따르면 이거를 옮기는 것만 하더라도 최소 3개월이 걸린다고 한다”고 짚었다.

관련기사



집무실 이전 문제가 신구(新舊) 권력 간 갈등 양당으로 치닫자 지선에 미칠 역풍을 우려하며 출구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이 같은 권력 갈등은 구(舊)권력에게 더 부정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참여정부 정무수석 출신인 유인태 전 국회사무총장은 지난 22일 라디오(KBS)에 출연해 “지방선거의 영향을 미치는 걸 보자면 청와대 신구 권력 간에 충돌로 비치는 게 (민주당에게) 오히려 감점이 될 수가 있다”고 우려했다. 유 전 총장은 “전략적으로 포석을 한다고 그러면 저런 모습이 민주당에 그렇게 도움은 안 될 것”이라며 “일정을 합리적인 선에서 조금 당선인 쪽에서 조금 양보를 하는 게 그게 순리가 아닌가 싶다”고 내다봤다.

이에 민주당도 집무실 이전 문제에 대한 공세 강도를 한 단계 낮추는 모습을 보였다. 윤호중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에서 “청와대 이전에만 급급하던 윤 당선인이 2차 추경 편성을 공식화했다. 늦었지만 환영한다”며 “여야가 추경에 뜻을 모은 만큼 오늘이라도 당장 관련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 추경 규모와 재원 조달 등의 논의를 속도감 있게 진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용진 수석대변인은 “대통령 집무실 이전에 반대하는 것이 아니다. 윤 당선인과 국민의힘이 졸속·불통으로 밀어붙여서는 안 된다는 것”이라며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꼼꼼하게 살피고 철저하게 준비해야 안보 공백, 국정혼선을 차단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정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