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기·벤처

수출 중기 10곳 중 7곳 "러-우크라 사태로 경영 어려워"

중기중앙회, 실태 조사 결과

10곳 중 8곳은 채산성 악화

물류 운송 차질·대금 결제 중단

원자재 가격 급등 따른 수익성 악화





장기화되고 있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수출 중소기업 10곳 중 7곳은 수출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10곳 중 8곳은 채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은 물류 운송 차질을 비롯해 대금 결제 중단·지연 등 직접적인 영향을 비롯해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수익성 악화 등 간접적인 영향까지 받고 있는 등 경영 어려움을 호소했다.



23일 중소기업중앙회가 수출입 중기 313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태조사에 따르면 ‘러-우크라이나 사태로 수출입 애로를 겪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은 70.3%이었다. 러-우크라이나 사태로 영향을 받고 있는 기업 중 32.3%는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67.7%는 ‘간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고 대답했다. 직접 영향을 받고 있는 기업의 애로사항으로는(복수응답)으로 △물류 운송 차질(64.8%)이 가장 많았으며 △대금 결제 중단·지연(50.7%) △수출통제에 따른 수출 차질(38.0%) 순으로 나타났다. 간접 영향을 받고 있는 기업의 애로사항(복수응답)은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수익성 악화(73.2%)가 가장 많았고 △원부자재 수급 차질(56.4%) △원-달러 환율 급등(54.4%)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 사태에 대한 기업들의 대응책(복수응답)으로 △원자재 비축물량 확보(35.1%)와 △납품단가 인상(35.1%)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대응 방안이 없다고 응답한 기업도 31.6%에 달해, 추가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이 원하는 정부 지원책(복수응답)으로는 △원자재 비축물량 확보 및 중소기업 우선 수급(46.3%)이 가장 높았으며 △긴급 경영안정자금 지원(41.2%) △안정적 외환시장 관리(35.8%) 순으로 조사됐다.

관련기사



이번 사태와 관련한 원자재 가격 상승이 기업의 채산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한 기업은 10곳 중 8곳인 79.0%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원자재 가격 상승이 영업이익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30%~10%초과 하락(33.2%) △10% 이하 하락(29.1%) △50%~30%초과 하락(18.6%) △50% 이상 하락(10.5%) 등으로 나타났으며, 영업 손실 전환을 예상하는 기업도 8%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원자재 가격 상승분의 납품가격 반영 여부에 대해서는 4.2%의 기업만이 전액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나 대다수의 기업들은 원자재가 상승에 따른 손실을 감수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가격 반영을 하지 못하는 이유(복수응답)로는 △가격 경쟁력 약화(49.2%)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장기계약에 따른 단가 변경 어려움(46.8%) △거래처와의 관계 악화 우려(39,7%) 순으로 응답했다.

원자재 상승에 따른 기업의 자체 대응책(복수응답)으로는 △원자재 외 원가절감(39.6%)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원자재 선(先)구매 및 확보(31.3%) △납품가격·일자 조정(29.1%) △대체 수입처 검토(16.3%)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대응 방안 없음이라고 응답한 기업도 21.1%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원자재 가격 상승 대응을 위해 희망하는 정부 지원책(복수응답)으로는 △원자재 가격 및 수급 정보 제공(34.5%) △원자재 구매 대금·보증 지원(32.3%) △조달청 비축 원자재 할인 방출(29.4%) 순으로 나타났으며 △납품단가 연동제 조기 시행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기업도 20.1%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추문갑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는 수출입 중소기업의 대금결제 중단, 수출 감소 등 직접적인 영향 외에도 급등하고 있는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에 불을 지핀 격”이라며, “원자재 가격 변동 대응 능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채산성 악화를 방지하기 위한 납품단가 연동제 조기 시행 등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