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지방공무원 합격자 종이서류 제출 폐지… 인터넷 접수 일원화

서울시·16개 광역단체 접수창구 통합

행정안전부. 서울경제DB행정안전부. 서울경제DB




올해부터 지방직 공무원의 인터넷 원서접수 창구가 일원화되고 합격자는 등록서류를 종이로 발급받아 제출하지 않아도 된다.



행정안전부는 지방직 공무원 채용시험 원서 접수부터 합격자 임용 등록까지 채용시험의 모든 단계를 온라인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지자체 인터넷원서접수센터를 개선한다고 23일 밝혔다. 우선 서울시와 나머지 16개 광역단체의 인터넷원서접수센터를 통합 운영한다. 기존에는 서울시와 16개 광역단체가 각각 센터를 운영하는 바람에 수험생들이 원서 접수를 누락하거나 중복으로 접수해 취소하는 사례가 많았다.

관련기사



응시원서 접수 단계에서도 수험생이 가산 특전을 온라인으로 조회하고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기존에는 수험생이 응시원서를 접수할 때 시험 가산 특전을 받을 수 있는 자격증 등 정보를 입력하면 지자체 인사담당자가 해당 기관에 공문을 보내 검증했다. 수험생이 본인에게 가산 특전이 적용되었는지를 확인하려면 지자체에 문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지방공무원 시험 합격자의 임용 후보자 등록도 온라인으로 가능해진다. 종이서류로 제출하던 주민등록표 초본 등 5종은 정부24 전자지갑과 연계하고 채용 신체검사서 등 4종은 인터넷원서접수센터에 온라인으로 제출하면 된다. 기존에는 합격자들이 9종의 구비서류를 발급받아 직접 지자체를 방문하거나 우편으로 제출해야 했다.

시험 가산 특전 확인은 오는 7월 원서 접수를 시작하는 지방직 7급 공채시험부터, 온라인 임용 후보자 등록은 6월 실시되는 9급 공채시험 합격자 임용 등록부터 적용한다. 최훈 행안부 지방자치분권실장은 “앞으로도 공무원 시험 및 채용과 관련된 다양한 수요를 반영해 디지털 시대에 맞는 편리한 서비스를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지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