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코로나 당뇨 위험 40% 높여"…완치자 10% 진단 의미

美 연구팀 "최선책은 백신으로 코로나19 감염 막는 것"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




코로나19에 걸리면 완치 후 1년 안에 당뇨병 진단을 받을 위험이 코로나19에 걸리지 않은 사람보다 40%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2일(현지시간) 미국 ABC뉴스에 따르면 미국 VA 세인트루이스 의료시스템 지야드 알-알리 박사팀은 미국 보훈부의 환자 데이터를 통해 2020년 3월 1일부터 지난해 9월 30일까지 확진자 18만1000명과 같은 기간 코로나에 걸리지 않은 410만 명을 비교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코로나19 확진자의 당뇨병 위험이 40% 증가한다는 것은 완치자 100명 중 한 명이 당뇨병 진단을 받을 수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ABC 뉴스는 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지난 21일 기준 미국 내 코로나19 확진자는 모두 7950만 명이기 때문에 이 연구 결과는 코로나로 인해 당뇨 환자가 79만5000명 늘어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고 전했다.

알-알리 박사는 "이 결과는 코로나19가 건강에 급성 영향뿐 아니라 많은 사람에게 평생 겪어야 할 장기적인 건강 문제를 남길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며 "받아들이기 불편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처음에는 당뇨병 위험 증가가 코로나19 확진자 가운데 비만 같은 당뇨 위험 요인을 가진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 데이터를 분석했으나 결과는 모든 코로나19 확진자 그룹의 당뇨병 위험이 증가한다는 것이었다.

관련기사



알-알리 박사는 "당뇨병 위험 증가는 흑인과 백인, 젊은 층과 고령층, 남성과 여성에서 모두 명백했다"며 "가장 중요한 것은 기존 당뇨병 위험 요소가 전혀 없는 사람들도 당뇨병 위험이 증가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코로나19 확진자 중 당뇨병에 걸린 사람들은 99% 이상이 제2형 당뇨병으로 진단됐다.

가장 흔한 형태의 당뇨병인 제2형 당뇨병은 세포가 혈당을 조절하는 호르몬인 인슐린에 내성을 갖게 돼 발생하는 것으로, 인슐린 생성이 전혀 또는 거의 되지 않는 제1형 당뇨병과는 다르다.

이 연구가 코로나19가 당뇨병 위험을 높인다는 것을 제시한 첫 사례는 아니다.

앞서 독일 뒤셀도르프 하인리히 하이네 대학의 라이프니츠 당뇨 연구센터 연구진도 지난주 코로나19에 걸린 사람들은 제2형 당뇨병 위험이 28%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코로나19가 당뇨병 위험을 증가시키는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몇 가지 이론이 제기됐지만 아직 명확히 밝혀진 것은 없다.

한가지 이론은 코로나19가 인슐린 분비와 민감성을 훼손하는 염증을 일으킨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코로나19가 인체 내 마이크로바이옴(미생물생태계) 구성과 기능에 장애를 일으켜 당뇨를 유발한다는 것이다.

알-알리 박사는 당뇨병 위험을 줄이는 최선책은 먼저 백신을 접종해 코로나19 감염을 막는 것이라며 코로나19에 걸렸다면 지나친 갈증이나 잦은 소변 같은 당뇨병 징후가 나타나는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진현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