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기도, 섬유분야 유해물질 KC 인증시험 비용 지원…기업당 최대 500만원

경기도청 북부청사 전경경기도청 북부청사 전경




경기도는 한국섬유소재연구원과 함께 코로나19 확산과 장기화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도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섬유·가죽 제품 유해 물질의 KC 인증시험 비용을 최대 500만원까지 지원한다고 24일 밝혔다.

도는 이달부터 오는 12월까지 ‘섬유분야 유해 물질 시험분석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도는 이를 위해 2억5,000만원을 투입하며, 예산 소진 때까지 선착순으로 진행된다.



도의 이 같은 지원은 해외 바이어의 인증 성적서 요구, 국내 소비자의 유해 물질 안전 확인 요구 등이 급증하고 있지만, 고가의 취득 비용과 전문성 부족으로 많은 중소기업·소상공인들이 규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도는 시험분석 비용을 소상공인(10인 미만)은 80%, 중소기업(10인 이상)은 60% 범위에서 지원한다. 지원 품목은 성인·아동용 섬유·가죽제품 등 ‘안전기준 준수 대상 제품’이나 유아용 섬유제품 등 ‘안전확인 대상 제품’이다. 이중 안전기준 준수 대상 제품은 기업당 최대 500만원, 안전확인 대상 제품은 최대 200만원 내에서 수수료를 지원할 예정이다.

지원되는 시험 항목은 폼알데하이드, 유기주석화합물, 아릴아민 24종, pH, 알러지성 염료 22종,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납, 카드뮴, 유해 원소 용출 8종,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이다.

이밖에 기업에서 신소재 개발기획에 유용하게 활용하도록 최신 안전 규제 관련 동향 정보를 제공하고, 유해 물질 검출 및 문제 해결 솔루션을 제공하는 등 도내 생산제품의 품질 불균형 해소에 이바지할 예정이다.

노태종 경기도 특화기업지원과장은 “유해 물질 KC 인증을 위한 시험분석 비용의 과다한 부담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도내 섬유 기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섬유제품의 안정성을 담보하여 도내 기업 기술력 강화 지원 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