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방송·연예

청각장애 다룬 OTT 오리지널 영화, 오스카도 귀를 열다

■제94회 아카데미 시상식

'코다' OTT 영화로는 첫 작품상

장애 부모 둔 소녀 성장기 그려

윤여정은 남우조연상 시상 참여

시상자 농담에 화난 윌 스미스

무대 올라 뺨 때리는 해프닝도

27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LA) 돌비 시어터에서 열린 제94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을 수상한 영화 ‘코다’의 출연진들이 수상의 기쁨을 나누며 포즈를 취하고 있다. 로스앤젤레스=AFP연합뉴스27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LA) 돌비 시어터에서 열린 제94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을 수상한 영화 ‘코다’의 출연진들이 수상의 기쁨을 나누며 포즈를 취하고 있다. 로스앤젤레스=AFP연합뉴스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오리지널 영화가 올해 열린 미국 아카데미 영화상에서 처음으로 최고상인 작품상을 거머쥐었다. 그간 높은 작품성에도 홀대 받았던 OTT 오리지널 영화가 설욕한 셈이다. 작품상의 주인공은 애플TV+에서 제작한 ‘코다’로, 청각장애인 부모에게서 태어난 소녀의 감동적 이야기를 다룬 가족영화라는 점이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넷플릭스가 만든 ‘파워 오브 도그’도 감독상을 받으며 OTT 영화의 높아진 위상을 확인케 했다. 하지만 배우 윌 스미스가 이 자리에서 아내의 병으로 인한 탈모를 놀리는 시상자에게 격분해 뺨을 때리는 돌발 상황이 벌어지는 바람에 현지에선 큰 논란이 빚어지고 있다.



‘코다’는 27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LA) 돌비 시어터에서 열린 제94회 아카데미상 시상식에서 작품상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이 작품은 작품상과 더불어 남우조연상과 각색상 등 총 3개 부문의 상을 휩쓸었다. ‘코다’는 청각장애인 부모에게서 태어난 10대 소녀 루비가 음악이라는 꿈을 향해 달려가는 따듯한 색채의 음악영화다. ‘코다’는 청각장애인 부모에게서 태어난 아이(Children Of Deaf Adult·CODA)를 지칭한다. 2014년 나온 프랑스 영화 ‘미라클 벨리에’의 리메이크로, 루비의 부모 역할로 모두 청각장애인을 캐스팅해 화제가 됐다.

루비의 아버지 프랭크를 연기한 트로이 코처는 남우조연상을 받으며 시상자인 윤여정과 함께 시상식 최고의 장면을 연출하기도 했다. 지난해 ‘미나리’로 여우조연상을 받은 윤여정은 전년도 수상자 자격으로 남우조연상 시상자로 나서, “오스카 수상자는…”이라고 말한 후 잠시 숨을 내쉬더니 양손을 움직여 수어로 수상자를 발표했다. 코처를 위한 배려였다. 그는 무대에 올라 수어로 “오늘 이 자리에 있게 돼 놀랐다. 이 자리에 있는 게 믿기지 않는다. 아카데미 모든 분들께 감사드린다”고 수상소감을 밝혔다. 다른 참석자들도 객석에서 양손을 들어 제자리에서 흔드는 수어로 수상을 축하했다.

‘코다'로 제94회 아카데미 남우조연상을 받은 배우 트로이 코처(왼쪽)가 27일(현지시간) 미국 LA 돌비 시어터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수어로 수상소감을 말하고 있다. 오른쪽은 시상자로 나선 배우 윤여정. 로이터연합뉴스‘코다'로 제94회 아카데미 남우조연상을 받은 배우 트로이 코처(왼쪽)가 27일(현지시간) 미국 LA 돌비 시어터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수어로 수상소감을 말하고 있다. 오른쪽은 시상자로 나선 배우 윤여정. 로이터연합뉴스



‘코다’의 수상은 OTT 오리지널 영화 중 최초의 아카데미 작품상이라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애플TV+는 OTT 업계 선두주자인 넷플릭스를 제치고 첫 출품인 ‘코다’로 작품상을 받는 성과를 내게 됐다. 넷플릭스의 경우 2019년 ‘로마’, 2020년 ‘아이리시 맨’ ‘결혼 이야기’, 지난해 ‘맹크’ ‘트라이얼 오브 시카고7’ 등 오리지널 영화들을 작품상 후보에 올렸지만 수상에는 실패한 바 있다.

관련기사



대신 올해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 가운데는 ‘파워 오브 도그’의 제인 캠피온 감독이 감독상을 받았다. 이 영화는 총 12개 부문 후보로 오르며 ‘코다’와 더불어 강력한 작품상 수상 후보로 꼽히기도 했다. 여성 감독의 감독상 수상은 2008년 ‘허트 로커’의 캐서린 비글로우, 지난해 ‘노매드랜드’의 클로이 자오에 이어 통산 세 번째다. 이 작품은 1920년대 미국 서부 몬태나주 목장을 배경으로 하는 심리 스릴러다.

하지만 이날 시상식의 가장 논쟁적 장면은 윌 스미스의 차지였다. 흑인 코미디언 크리스 록은 다큐멘터리상 시상자로 무대에 올라서는 윌 스미스의 부인 제이다 핑킷 스미스의 헤어 스타일을 소재로 농담을 했다. 록은 스미스 부부를 쳐다보며 “제이다. 사랑한다. ‘지.아이. 제인’ 2편을 빨리 보고 싶다”고 말했다. ‘지. 아이. 제인’은 네이비 씰 여군 역할로 출연한 데미 무어의 삭발로 화제가 됐던 작품으로, 록의 발언은 자가면역 증상으로 인한 탈모를 고백했던 제이다 핑킷 스미스를 겨냥한 것이다. 스미스는 록의 농담을 웃는 표정으로 듣다 아내의 굳어진 표정을 본 후 무대 위로 걸어 올라가서는 록의 뺨을 때렸다. 시상식장에 때리는 소리가 들릴 정도였다. 객석으로 돌아온 스미스는 분이 풀리지 않은 듯 “아내의 이름을 입에 올리지 말라”고 소리쳤고, 장내 분위기가 조용해졌다.

배우 윌 스미스(오른쪽)가 27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 돌비 시어터에서 열린 제94회 오스카 시상식에서 배우 겸 코미디언 크리스 록의 뺨을 때리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배우 윌 스미스(오른쪽)가 27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 돌비 시어터에서 열린 제94회 오스카 시상식에서 배우 겸 코미디언 크리스 록의 뺨을 때리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이후 스미스는 비너스·세레나 윌리엄스 자매를 테니스 여제로 길러낸 아버지 리처드 윌리엄스를 연기했던 ‘킹 리차드’로 생애 첫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받았다. 그는 눈물을 흘리며 긴 수상소감을 밝히면서도 자신의 폭행 행위는 직접 언급하지 않은 채 “아카데미와 동료 후보들께 사과하고 싶다”고 말했다. 미국에서는 스미스의 폭력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높다. 아카데미 측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아카데미는 어떠한 형태의 폭력도 용납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LA 경찰도 사건을 인지하고 있지만 록이 신고를 거부했다고 전했다.

한편 여우주연상은 제시카 차스테인이 받았다. 그는 미국 종교방송 네트워크를 만든 1970년대 유명 방송인 타미 페이의 흥망성쇠를 그린 작품 ‘타미 페이의 눈’에서 페이 역할을 연기했다. 작품상과 감독상, 각색상 등 4개 부문 후보에 올랐던 일본의 하마구치 류스케 감독 작품 ‘드라이브 마이 카’는 국제장편영화상을 받았다. 이 작품에 출연한 한국인 배우 박유림·진대연·안휘태도 이날 시상식에 참석했다. 이들은 수상작으로 호명됐을 때 객석에서 하마구치 감독과 주연 배우인 니시지마 히데토시 등과 함께 축하를 나눴다. 하마구치 감독은 수상 소감에서 이들의 이름을 하나하나 부르며 감사를 표했다.


박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