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기·벤처

"중기 전용 T커머스 신설땐 3년 간 누적 1조 매출 효과"

미디어정책학회 연구결과 발표

매년 1379억 생산효과 창출

신규 일자리도 1282개 늘어

학회장 "판로·소비 확대 기대"





중소기업 전용 T커머스 방송이 생기면 중소기업계가 3년간 누적 1조원의 매출증대 효과를 거둘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9일 박천일(사진) 한국미디어정책학회장은 ‘신규 T커머스 채널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이라는 연구보고서를 통해 “중소기업 전용 T커머스 사업자가 생기면 누적 1조원의 중소기업 판로 확대 및 소비 진작, 고용 창출에서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측했다.

관련기사



특히 중소기업 전용 T커머스 사업자의 출현은 매출 증대 뿐 아니라 전후방 연관 산업을 자극해 “매년 1379억원의 생산과 683억원의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매년 1282개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한다"고 내다봤다. 지금과 같은 속도로 T커머스 사업의 성장이 지속된다면 신규채널이 출현하며 경제적 파급효과가 더욱 증대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박천일 학회장 겸 숙명여대 교수와 변상규 호서대 교수가 연구를 맡은 이번 보고서는 T커머스 사업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해당 사업자 수에 대한 수요의 탄력성 분석으로 매출 효과를 계량화하고 한국은행에서 발간한 ‘산업연관표’를 활용해 국민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했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중기 전용 TV홈쇼핑 사업자가 추가로 T커머스 채널을 겸영할 경우 예상되는 추가적인 경제적 효과에 주목했다.

국내에서 TV홈쇼핑 사업자는 GS샵과 롯데홈쇼핑, NS홈쇼핑, CJ온스타일, 현대홈쇼핑, 홈앤쇼핑, 공영쇼핑 등 7곳, T커머스 사업자는 기존 TV홈쇼핑 5곳(겸업)과 단독 사업자인 SK스토아, K쇼핑, 신세계TV쇼핑, W쇼핑, 쇼핑엔티 등 총 10곳이다. 후발주자이면서 공공성을 갖고 중소기업 제품을 주로 판매하는 홈앤쇼핑과 공영쇼핑은 T커머스 채널 사업권을 승인 받지 못하고 있다.


김동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