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유방암 검사 얼마나 믿을 수 있나…'가짜 양성' 확률은?

10년간 매년 검사받는다면 1번 이상 '허위 양성' 가능성

2년마다 받을땐 허위양성 적어…나이·조직밀도 따라 차이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




유방암 진단을 위한 X선 검사를 10년간 매년 받았을 때 최소한 한 번의 ‘허위 양성(false-positive)’이 나올 가능성이 50%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허위 양성은 질병이 없는데도 있는 것으로 검사 결과가 나오는 경우를 말한다.

28일(현지시간) 의학 뉴스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에 따르면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학의 마이클 비셀 역학 교수 연구팀은 2005년 1월에서 2018년 12월 사이에 126개 영상 검사 기관에서 매년 또는 2~3년에 한 번씩 유방암 검사를 받은 여성 90만3495명(40~79세, 평균연령 57.6세)의 기록을 분석해 이같은 결과를 도출했다고 밝혔다.



분석 대상 중 71.8%는 매년, 16.8%는 2년에 한 번, 11.4%는 3년에 한 번 유방암 검사를 받았다. 3차원 디지털 유방 단층촬영(DBT: digital breast tomosynthesis) 검사를 받은 여성은 전체의 15%였고 나머지는 2차원 표준검사를 받았다. 2차원 표준 X선 검사는 2개 앵글에서 유방을 촬영하는 데 비해 3차원 X선 검사는 스캐너가 유방 위를 활 모양으로 움직이며 여러 앵글에서 촬영한다.

관련기사



10년간 매년 검사를 받은 경우, 최소한 1번 허위 양성 결과가 나올 가능성은 3차원 DBT 검사가 49.6%, 2차원 표준 X선 검사(standard mammography)가 56.3%로 나타났다. 허위 양성으로 단기 간격(short-interval) 추적 검사를 받은 여성은 DBT 그룹이 16.6%, 표준검사 그룹이 17.8%였다. 조직검사를 받은 경우는 DBT 그룹이 11.2%, 표준검사 그룹이 11.7%였다.

2년에 한 번씩 검사를 받은 여성은 DBT든 표준검사든 허위 양성률이 현저히 낮았다. DBT 그룹은 35.7%, 표준검사 그룹은 38.1%였다. 이 중 단기 추적검사를 받은 여성은 DBT 그룹이 10.3%, 표준검사 그룹이 10.5%였고 조직검사를 받은 여성은 DBT 그룹이 6.6%, 표준검사 그룹이 6.7%였다.

한편 매년 검사를 받은 여성의 허위 양성률은 나이가 올라갈수록 떨어졌다. 40~49세는 DBT 그룹이 68%, 표준검사 그룹이 60.8%였지만 70~79세는 DBT 그룹이 39.8%, 표준검사 그룹이 47%였다.

또 유방조직 밀도가 낮을수록 허위 양성률도 낮아졌다. 유방조직 밀도가 가장 치밀한 여성은 허위 양성률이 67.3%였지만 유방이 완전히 지방(fat)인 여성은 31%에 불과했다. 이 경우 DBT 그룹과 표준검사 그룹 사이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심장협회 저널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 최신호에 실렸다.


윤진현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