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완치 됐는데도 피로·수면장애…1000명 후유증 추적조사한다

안철수 인수위원회 위원장(앞줄 왼쪽 두 번째)과 코로나비상대응특위 위원들이 31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적십자병원 코로나19 외래진료센터를 방문하고 있다. /연합뉴스안철수 인수위원회 위원장(앞줄 왼쪽 두 번째)과 코로나비상대응특위 위원들이 31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적십자병원 코로나19 외래진료센터를 방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코로나19 완치 이후에도 이어지는 후유증에 대한 대규모 추적 조사에 착수했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31일 코로나19 확진자 약 1000명에 대해 확진 판정 후 3개월 간격으로 2차례 후유증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당국에 따르면 이번 조사는 서울·경기·충청·경상·부산·제주권 소재 국내 14개 의료기관 간 네트워크를 통해 이뤄지며, 중간 결과는 올해 하반기에 분석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이상원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역학조사분석단장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아직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후유증에 대한 연구가 충분하지 않아 적극적인 치료와 대응에 한계가 있는 상황"이라며 표준화된 후유증 조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앞서 국립보건연구원이 국립중앙의료원, 경북대학교병원, 연세대학교의료원과 함께 각각 실시한 후유증 조사 결과에 따르면 피로감·호흡곤란·건망증·수면장애·기분장애 등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으며, 조사 대상자의 20∼79%가 이런 후유증을 겪었다고 답했다.

한편 방역당국은 이와 별개로 올해 2분기(4∼6월)부터 분기별로 연 4회에 걸쳐 국민 항체 양성률 조사에 나설 예정이라고 밝혔다.

조교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