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초대형 산불 대비 맞춤형 대응전략 체계 수립한다

주력 헬기, 대형에서 초대형으로 전환

지자체 임차헬기도 내년부터 중·대형으로 전환

산림청, 대형산불 대응 개선 대책 발표

임상섭 산림청 산림보호국장이 대형산불 예방 및 진화 개선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산림청임상섭 산림청 산림보호국장이 대형산불 예방 및 진화 개선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산림청




전국 동시다발 및 초대형 산불에 대비해 맞춤형 대응전략 체계가 마련된다.



산림청은 최근 경북, 강원지역에서 발생한 대형산불과 관련, 개선대책을 수립해 31일 발표했다.

산림청은 우선 산불 대형화에 따른 초대형산불 개념을 도입하고 현장대책본부장의 진화자원 동원 권한 등을 부여하는 대응 지침도 정비하기로 했다. 정확한 상황판단을 위해 인공지능(AI)와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산불진화자원 배치 의사결정지원 시스템도 현장에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공중과 지상 진화자원을 충분히 확충하여 초기 대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산림청의 주력 헬기를 대형에서 초대형으로 전환하고 지자체 임차헬기도 내년부터 중·대형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산불진화차는 오는 2027년까지 대형 2,500대와 고성능으로 교체해 나가는 한편 산불재난특수진화대 처우를 대폭 개선하고 규모도 확대할 방침이다.



야간산불 대응을 위해 드론산불진화대 10개팀을 운영하고 드론 개발·보급과 항공기의 확대 도입을 검토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아울러 산불산불에 강한 숲 조성 등 산불방지 인프라 구축을 위해 국가기반시설과 문화재, 주택 인접지 중심으로 산불예방 숲가꾸기를 연간 8000ha에서 연간1만5000ha로 확대 실시하고 내화수림대을 연간 350ha 확대 조성해 나갈 예정이다.

산불진화 임도 또한 현행 157㎞에서 2030년까지 6357㎞로 확대하고 담수기능을 갖춘 물가두기 사방댐을 2027년까지 63개소로 늘릴 계획이다.

한편 올해들어 50년만에 최악의 겨울 가뭄으로 산불이 초겨울부터 다수 발생해 3월말까지 304건의 산불이 발생해 전년 동기(167건) 대비 1.8배 증가했다. 특히 3월 4일부터 5일까지 2일간 발생한 경북(울진, 삼척)?강원(강릉·동해, 영월) 지역의 동시다발 산불은 강풍(초달 최대 풍속 26m)으로 인해 대형산불로 확산됐고 인명피해없이 산림 2만1000ha, 주택 322채와 농업시설 281동 등의 잠정 피해를 냈다.

산림청은 2차 피해예방을 위한 응급복구와 산림생태계 회복 목적의 항구복구로 나누어 실시할 계획이다. 응급복구는 집중호우로 토양유실 등 2차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을 대상으로 산사태 예방사업을 6월 장마철 이전에 마무리하고 생활권 주변지역(약 1118ha)에 대해서는 긴급 나무 베기를 실시하고 내년부터 연차적으로 복구조림(대상지역 약 1만8000ha)을 해나갈 계획이다.

산림유전자원 보호구역 등 생태적 가치가 높은 지역은 지역주민·전문가·시민단체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여 산림생태계 복원전략을 마련하고 산불로 인해 피해를 입은 임업인들에게는 조기에 경영활동이 이루어지도록 융자금 등을 신속히 지원할 방침이다.

임상섭 산림청 산림보호국장은 “산불진화에 많은 지원을 해준 여러 중앙부처와 지방정부, 그리고 산불진화대와 지역주민 여러분께 감사드린다”며 “5월까지는 대형산불 위험이 계속될 것이기 때문에 경각심을 늦추지 않고 국가와 국민이 한뜻으로 산불예방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전=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