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美 '빅스텝' 유력한데…4월14일 금통위 총재 없이 열리나

한은 총재 공석…이승헌 대행체제

이창용 후보자 인사청문 늦어져

2주 안에 공식 임명은 어려울 듯

총재 없이 금리결정 가능성 커져


사상 초유의 통화정책 수장 공백 사태 속에 차기 한국은행 총재로 내정된 이창용 후보자가 4월 14일 금융통화위원회에 참석할 수 있을지 초미의 관심이다. 이 후보자는 30일 귀국해 국회 인사 청문회 준비에 곧바로 돌입했다.

하지만 통상 20일가량 걸리는 임명 절차를 고려하면 4월 금통위 참석은 불투명하다. 미국 중앙은행이 5월 한 번에 0.5%포인트 기준금리를 올리는 ‘빅스텝’이 유력한 가운데 우리 통화 당국이 총재 없이 기준금리를 결정해야 하는 초유의 상황이 현실이 될 가능성이 커졌다.



31일 이주열 총재가 퇴임하면서 한은은 4월 1일 이승헌 부총재 대행 체제로 전환된다. 총재 공석은 1950년 한은 설립 이래 처음이다. 정권 말 인사권을 두고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당선인 간에 갈등이 불거지면서 23일에야 이 후보자가 차기 총재로 낙점받았다.

관련기사



문제는 지난 8년간 국제통화기금(IMF)에서 일해온 이 후보자가 미국 생활을 정리하고 입국하느라 인선 작업이 또 지체됐다는 점이다. 통상 후보자 지명이 이뤄지면 관련 자료 준비를 거쳐 3~4일 뒤 국회에 인사 청문 요청서가 발송되고 국회는 접수일로부터 20일 이내에 인사 청문회를 마쳐야 한다. 하지만 이 후보자의 경우 청문 요청서에 첨부할 재산 신고 서류들을 귀국 이후에 챙겨 청문 요청서 발송이 늦어질 것으로 보인다.

결국 이번 주 내 정부가 청문 요청서를 국회에 보내더라도 금통위가 열리는 4월 14일 전까지 이 후보자가 총재로 공식 임명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분석이다. 이 경우 한은 정관에 따라 주상영 금통위원이 금통위 의장 직무대행을 맡아 대신 의사봉을 잡게 된다. 주 위원은 한은 내 대표적 ‘비둘기파(통화 완화 선호)’로 최근 세 차례의 금리 인상 과정에서도 꾸준히 ‘동결’ 소수 의견을 냈다.

김현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