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기업

美, 배터리 소재 광물에 ‘국방물자생산법’ 발동한다

우크라이나 사태로 원자재가 폭등…수입 부담 커져

전기차·청정에너지 공급망 지배 中의존도 축소 나서

/AP연합뉴스/AP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전기자동차(EV) 배터리 생산에 필수적인 주요 광물을 증산하기 위해 국방물자생산법(DPA)을 발동할 예정이다. 주요 자원의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전기차 전환에 속도를 내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파이낸셜타임스(FT)와 블룸버그 등 외신들은 바이든 행정부가 전기차 배터리와 대용량 배터리 생산에 필요한 리튬·니켈·흑연·코발트·망간 등 소재에 대해 조만간 DPA를 발동할 계획이라고 30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DPA가 발동되면 해당 광물을 생산하는 미국 기업은 정부로부터 약 7억 5000만 달러를 지원받고 배터리 재활용에 대한 재정적 지원도 가능해진다. DPA는 대통령이 국가 안보를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한 물품을 생산 기업의 손실 발생 여부와 무관하게 우선 조달할 수 있도록 한 법으로 한국전쟁 당시에 제정됐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의료 물자 확보에 DPA를 활용한 바 있다.

관련기사



사진 설명사진 설명


블룸버그는 최근 전기차 수요 급증과 공급망 불안, 우크라이나 전쟁의 영향으로 배터리 소재 광물의 가격이 치솟으면서 청정에너지로 전환하던 미국 산업계의 취약성이 드러났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백악관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이 4분의 1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는 광물 종류는 58개에 달한다. 2020년 미국 지질조사국은 흑연·망간의 경우 100%, 코발트와 리튬은 각각 76%와 50%를 순수입에 의존한다고 발표했다.

바이든 정부는 지난해 EV 배터리 공급망을 보완하고 리튬이온 전지의 주요 생산국인 중국 의존도를 낮추는 데 예산 60억 달러를 배정하는 등 전기차 확대와 희토류의 국내 조달 확대에 공을 들여왔다.

장형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