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코로나 스트레스, 무섭다는 월요병보다 '5배' 크다

100개국 SNS 게시글로 부정적 감정 분석

"팬데믹 충격, 이상고온·허리케인보다 커"

이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이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




월요병, 이상고온, 허리케인 등을 경험할 때 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 대한 전 세계인의 스트레스가 더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진 등이 참여한 국제 연구팀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소셜 미디어에 게재된 내용을 분석해 이 같은 결론을 내렸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인간 행동’에 게재됐다.

관련기사



연구팀은 코로나19 팬데믹 초반인 2020년 1월 1일부터 같은 해 5월 31일까지 우리나라를 포함한 100개국 사람들이 트위터에 올린 게시글 6억5400만건을 수집한 뒤 자연어 처리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코로나19에 대한 부정적 감정을 측정했다. 그 결과 이 기간 트위터에서는 전 세계인의 정서 침체가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경향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19를 팬데믹으로 선언한 2020년 3월 11일 이후 뚜렷해졌다.

연구팀은 또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주말에 가장 긍정적인 감정을 표현하고 월요일에 가장 부정적인 감정을 드러낸다는 기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월요병과 코로나19 팬데믹 스트레스를 비교했다. 그 결과 전 세계인의 일요일과 월요일의 평균 감정차는 0.18 정도였으며 코로나19 1차 팬데믹 기간 평균 감정차는 0.85에 달했다. 즉 팬데믹 스트레스가 월요병의 4.7배에 달하는 셈이다.

이번 논문의 교신저자인 정쓰치 MIT 교수는 "팬데믹 그 자체가 평상시 한 주에 관찰되는 감정 변화의 4~5배에 달하는 감정적 손실을 초래했다"고 강조했다. 논문의 공동 제1저자인 MIT 판이춘 박사는 "팬데믹에 대한 충격은 이상고온을 경험했을 때보다 3~4배 심했고 허리케인이 발생한 날보다도 컸다"고 설명했다.


이주희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