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尹, 대통령 취임 즉시 용산서 업무…"벙커 곧 완비, 안보공백 없다"

취임 전 위기관리시스템 갖춰

국방부 청사 임시집무실 이용

인수위 "플랜B·C 만반의 준비"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달 2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삼청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회견장에서 대통령실 용산 이전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달 2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삼청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회견장에서 대통령실 용산 이전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하는 5월 10일부터 용산 근무를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방부 이전 등이 지체되더라도 용산에서 근무할 수 있는 여러 대안이 마련돼 있는 만큼 인수위 사무실이 마련된 통의동으로 출근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



인수위 관계자는 7일 “5월 10일 새 정부가 출범해 집무가 시작되는 날 윤 대통령은 안보 공백 없이 대통령 업무를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체적인 일정은 계획보다 다소 늦어졌지만 대통령 집무실을 포함한 주요 시설을 취임 날짜에 맞춰 이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인수위 측은 대통령 집무실 이전에 필요한 조건으로 이른바 ‘벙커’라고 불리는 국가위기관리센터 완비와 대통령의 국방부 용산 청사 근무 등을 꼽았다.



인수위 관계자는 “합동지휘통제체계(C4I)라는 전술 시스템에 국방부에 없는 재난·재해 시스템을 연결하는 작업이 이뤄져야 위기관리센터가 완비되는데 이는 5월 10일까지 가능하다”며 “국방부 청사에서 집무를 시작할 수 있도록 시점도 맞출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다음 달 10일부터 대통령이 용산에서 업무를 시작하더라도 당분간 임시 집무실 이용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윤 당선인 측은 국방부 본관 1~4층에 대통령 집무실과 비서실·기자실·대변인실·경호처 등을 배치할 계획이다. 하지만 국방부가 본관 1~4층 시설 이전을 이달 18일부터 28일까지 이뤄지는 한미연합훈련 본훈련 종료 이후로 미루면서 차질이 생겼다. 해당 공간으로 이전하려면 합동참모본부 사무실도 조정해야 하는데 한미연합훈련 기간에는 불가능하다.

정부가 의결한 예비비 지출안에도 집무실 구축에 대한 직접 비용은 포함되지 않았다. 예비비 360억 원은 위기관리센터와 경호종합상황실 등 필수 안보 시설 구축에 116억 원, 국방부 이전 118억 원, 일반 사무실 공사비와 전산 서비스 시스템 101억 원 등으로 배정됐다. 따라서 국방부가 8일부터 먼저 옮기게 되는 5~10층 중에 임시 집무실이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인수위 관계자는 대통령 집무실과 관련해 “텐트를 친다는 말도 나오고 외부에서 지낸다는 등 별 이야기들이 다 나오는데 그렇지 않도록 플랜B·플랜C 등 만반의 준비를 다 하고 있다”며 “결과적으로 새 대통령은 5월 10일을 기점으로 집무를 시작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다만 “어느 층에서 어떻게 할지는 세세히 밝혀드릴 수 없는 점에 대해 양해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국방부 1~4층과 합참 등은 한미연합훈련이 종료되는 이달 28일 이후에야 이전이 이뤄진다. 이에 따라 대통령 집무실 이전 완료 시점은 6월 말로 예상된다. 해당 관계자는 “비서실의 마지막 인원까지 문을 닫고 들어가 ‘입주 완료’를 하는 시점으로 잡는다면 (6월 말 이전 완료라는) 지적도 맞는 말”이라며 “물리적으로 시간이 부족하니까 늦어질 수 있고 6월로 넘어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조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