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만파식적] 유엔 식량농업기구(FAO)







우리 국민들의 삶은 제2차 세계대전과 6·25 전쟁으로 피폐할 대로 피폐해졌다. 많은 국민들이 영양부족에 시달렸고 전쟁 후 상당 기간 미국의 원조 등에 의지해야 했다. 1945년 10월 유엔식량농업기구(FAO)가 설립되고 이어 1963년 자매 기구인 유엔식량계획(WFP)이 만들어진 뒤에는 주로 유엔을 통해 원조를 받았다. 우리나라가 WFP를 통해 지원받은 규모는 1964년부터 20년 동안 1억 450만 달러에 달했다. 덕분에 우리는 탁아소 영양 지원, 치수, 간척, 도로 개량, 간이 상수도 사업 등을 벌일 수 있었다.

관련기사



2차 대전이 끝난 후 지구촌의 최대 과제는 굶주림 해결이었다. FAO 공식 설립에 앞서 1943년에 44개국이 참여해 ‘식량 농업을 위한 유엔 임시위원회’를 발족시켰다. 이어 FAO는 유엔 창립보다 며칠 앞서 문을 연 뒤 1946년 유엔과 제휴했다. 유엔 산하 식량·농업 분야 기구로는 FAO와 WFP·국제농업개발기금(IFAD) 등이 있다. FAO는 주로 농업 정책·기술 개발, WFP는 식량 구호 활동을 벌이는데 IFAD는 농업 기금 지원 역할을 한다. 세 기구 모두 이탈리아 로마에 사무국을 두고 있다. 한국은 2018년에 ‘식량원조협약’에 가입해 해마다 예멘·시리아·라오스 등의 식량 위기국을 돕고 있다.

우크라이나 사태의 장기화로 식량·에너지 가격이 급등하며 상당수 국가의 민심이 들끓고 있다. FAO는 3월 식량가격지수가 159.3으로 1996년 지수 도입 이래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식량 가격 급등이 중동·북아프리카 지역 민주화 시위인 ‘아랍의 봄’으로 이어졌던 2011년 131.9보다도 훨씬 높다. 이미 스리랑카에서는 대규모 시위가 연일 벌어졌고 파키스탄에서는 임란 칸 총리가 의회의 불신임안 가결로 자리에서 물러났다. 레바논은 국제통화기금(IMF)으로부터 30억 달러의 구제금융을 받기로 했다. 공급망 차질로 촉발된 인플레이션이 지구촌을 뒤흔들고 있다. 당장 물가 잡기도 중요하지만 중·장기 식량 안보 차원에서 해외에 우리의 식량 생산 기지를 만들어 위기를 대비하는 지혜가 요구된다.

오현환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