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기도 '갯벌지도' 만든다…2024년까지 생태조사 진행





경기도가 갯벌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생태적 가치를 알리기 위한 ‘경기갯벌 생태조사’를 오는 2024년까지 진행한다.

경기도 해양수산자원연구소는 올해 시흥·안산 지역 56.3ha, 내년 화성 지역 72.4ha 갯벌을 대상으로 현장·탐문·문헌 조사를 마치고 2024년까지 경기도 갯벌 생태지도를 제작한다고 12일 밝혔다.



경기도 내 갯벌은 화성 72.4ha, 안산 50.4ha, 평택 8.0ha, 시흥 5.9ha, 김포 31ha 등 모두 1만6770ha(167.7㎢) 규모다. 이곳에서는 바지락·백합 등 연간 3000톤 규모의 조개류뿐 아니라 갯벌 자체로 연간 이산화탄소 26만톤 흡수 등 환경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관련기사



관광 가치도 뛰어나다. 경기갯벌을 대상으로 어촌계를 중심으로 현재 10개의 어촌 체험 마을이 운영하고 있으며 연간 약 450만명이 방문하고 있다. 하지만 시화지구(180㎢) 등 대형 개발사업으로 많은 갯벌이 소실됐다.

특히 환경·기후 변화로 바지락, 가무락, 굴 등 주요 조개류의 생산량도 2000년대 초반 약 1만 3000톤에서 2021년 약 1800톤으로 86% 이상 감소하는 등 갯벌 어업 환경이 많은 변화를 겪었다. 이에 경기도 해양수산자원연구소는 경기갯벌을 체계적으로 이용하고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어업적 갯벌 활용 지역이면서 생태학적 활용 가치가 큰 화성·안산·시흥 갯벌을 올해부터 3년간 조사한다.

현장 조사를 통해 주요 조개류와 보호종 등의 다양한 생물을 조사하고 갯벌의 특성을 분석한다. 조사가 완료되는 시점에 갯벌에 서식하는 유용생물, 갯벌 성분, 마을 어장과 보호구역 위치 등 다양한 정보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알기 쉬운 경기 갯벌 생태지도’를 제작한다.

김봉현 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장은 “올해부터 3년간 경기갯벌을 전체적으로 조사하고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수산정책 계획 수립과 갯벌 양식 활성화 시험 등에 활용할 계획”이라며 “조사를 토대로 완성된 갯벌 생태지도는 연구소 홈페이지 등에 게시해 우리 갯벌의 중요성을 도민에게 알리겠다”고 말했다.

수원=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