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취업자 수 증가 폭이 둔화했다. 오미크론 확산 영향에 숙박·음식 등 대면 서비스업의 고용이 위축되면서다. 고용률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국가 재정이 투입되는 노인 일자리와 보건·사회복지 일자리가 전체 일자리 증가세를 이끈 모습이다.
13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지난해보다 83만 1000명 늘었다. 3월 기준으로 2002년 이후 최고 증가 폭이지만 100만 명대 증가세가 이어졌던 1~2월과 비교하면 증가세가 느려졌다.
오미크론 확산으로 대면 서비스업의 고용 상황이 악화한 탓이다. 지난달 숙박 및 음식점업 취업자 수는 전년 대비 2만 명 감소해 지난해 12월 이후 처음으로 감소세로 접어들었다. 도매 및 소매업 취업자 수도 3만 2000명 줄었다.
15~64세 고용률은 67.8%, 실업률은 3.0%로 각각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역대 3월 기준 각각 최고치와 최저치를 기록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이날 “총량 지표 측면에서 개선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평가한 이유다. 문재인 대통령 역시 집권 기간 127만 개의 일자리가 늘어난 것에 대해 “우리 국민이 함께 거둔 성과”라고 말하기도 했다.
하지만 질적 측면에서는 개선에 좀처럼 속도가 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연령대로 보면 60세 이상 취업자 수가 33만 1000명 늘어 지난달 증가한 전체 일자리의 39.8%가 노인 일자리였다. 일자리 증가분의 30.2%가 보건·사회복지 분야이기도 했다. 이 분야는 재정이 투입되는 일자리가 주류다. 주 1~17시간 초단기 일자리는 16만 1000개 증가해 전년 동월 대비 7.4% 늘었고 일을 하지 않았지만 취업자로 분류되는 ‘일시휴직자’는 지난해보다 55% 증가했다. 특히 청년의 체감 고용 상황은 좋지 않다. 지난달 체감실업률(고용보조지표3)은 11.5%였는데 이를 15~29세 청년층으로 한정하면 20.1%로 높아진다. 허재준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국가가 주로 만드는 일자리는 청년들의 수요에 맞지 않는 경우가 많다”며 “노인복지 차원에서 노인 일자리 정책은 불가피하나 청년 고용 상황 개선에 힘을 써야할 때”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