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슈퍼컴이 200만년전 기후 분석…"인류는 하이델베르크인서 진화"

IBS, 기후와 인류 진화 연관성 밝혀

연구용 슈퍼컴퓨터 '알레프' 이용

200만 년 지구 역사 다룬 최초 모델

연구논문 과학학술지 '네이처'에 실려


국내 연구자들이 참여한 국제 연구팀이 200만 년 전 지구 환경을 분석해 기후 변화가 인류 진화에 영향을 끼쳤다는 것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호미닌 종족별 생존 시기 및 서식지. 왼쪽 보라색 음영이 호모 사피엔스, 가운데 빨간색 음영이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 오른쪽 파란색 음영이 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 사진제공=IBS호미닌 종족별 생존 시기 및 서식지. 왼쪽 보라색 음영이 호모 사피엔스, 가운데 빨간색 음영이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 오른쪽 파란색 음영이 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 사진제공=IBS





1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기초과학연구원(IBS) 기후물리연구단 연구팀이 독일, 스위스 연구진과 함께 기후 변화와 인류 진화 사이의 연관성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연구 논문은 과학 학술지 ‘네이처(Nature)’에 게재됐다.

관련기사



기존에도 기후가 인류 진화에 영향을 끼친다는 학계 의견은 많았다. 그러나 과거에는 인류화석 유적지 근처의 기후 자료가 부족한 탓에 그 사실을 명확히 규명하지 못했다.

연구팀은 슈퍼컴퓨터를 이용해 200만 년의 지구 환경 역사를 다룬 기후 모델을 시뮬레이션 했다. 대륙 빙하 증감, 온실가스 농도 변화, 지구 자전축과 공전궤도 변화 등을 담아낸 첫 모델이다. 이를 통해 5가지 인류종(호모 사피엔스·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호모 에렉투스·호모 에르가스테르·호모 하빌리스) 서식지를 표시한 시공간 지도를 만들었다. 이렇게 5가지 인류종 집단의 족보를 도출하고 현대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가 아프리카 후기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하이델베르크인)로부터 유래했음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로 재구성한 기후 기반 혈통은 유전자 정보, 인간 화석 분석에서 얻은 최근의 추정치와 매우 유사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시뮬레이션에는 IBS가 보유한 한국에서 가장 빠른 연구용 슈퍼컴퓨터 ‘알레프(Aleph)’를 이용했다. 시뮬레이션 수행에는 6개월 이상이 소요됐다. 데이터는 총 500TB(테라바이트)가 생산됐다. 시뮬레이션 수행은 윤경숙 IBS 연구위원이 맡았다.

연구를 이끈 악셀 팀머만 단장은 “기후가 우리 호모 종의 진화에 근본적인 역할을 했다는 것을 증명했다”며 “현재 인류가 지금의 우리일 수 있었던 것은 과거 기후의 느린 변화에 수천 년 이상 적응해 왔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강도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