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5월 말부터 확진자 격리 안한다…치료비도 본인 부담

25일부터 2급 감염병으로 조정

4주 후에는 격리권고, 재택관리로 전환

코로나 검사·치료도 환자 본인 부담

지난달 21일 오후 서울의 한 중학교 교실에서 코로나19 확진으로 재택치료 및 가정학습 중인 학생들의 빈자리가 보이고 있다. 이 학급은 총 24명 중 7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연합뉴스지난달 21일 오후 서울의 한 중학교 교실에서 코로나19 확진으로 재택치료 및 가정학습 중인 학생들의 빈자리가 보이고 있다. 이 학급은 총 24명 중 7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연합뉴스




5월 말부터는 코로나19에 감염되더라도 격리되지 않고 일상생활을 하면서 모든 병·의원에서 대면진료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또 코로나19는 1급 감염병에서 제외돼 2급 감염병으로 지정되고, 치료비도 본인이 부담하게 되는 등 진단·검사·치료(3T) 전 분야에서 일반 의료체계로의 전환이 이뤄진다.

정부는 15일 방역·의료 체계를 장기적으로 일상화하는 전략을 담은 '포스트 오미크론 대응 계획'을 발표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그동안 우리는 오미크론의 특성을 충분히 파악했고, 백신과 치료제라는 효과적인 무기도 갖추게 됐다"며 "국민들께서 코로나19에 걸리더라도 일상을 최대한 누리면서 동네 병·의원에서 진단받고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일반 의료체계로의 전환을 추진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날 발표는 국내 코로나19 발생 2년 3개월 만에 '일상의료체계 회복'을 공식적으로 선언한 것으로, 정부는 5월 하순까지 코로나19 이전 수준의 방역·의료 체계로 상당 부분 회귀하기 위한 로드맵을 제시했다.

관련기사



정부는 우선 이달 25일 고시 개정을 통해 코로나19를 2급 감염병으로 지정한다. 25일 직전까지는 준비기, 25일 이후부터 4주간은 이행기로 정해 단계적으로 의료체계 전환을 준비하고, 포스트 오미크론 전략 시행 준비가 완성단계에 이르면 안착기를 선언한다는 방침이다.

이행기까지는 확진자 7일 격리 의무, 고위험군 재택치료, 치료비·생활비 지원 등 현행 관리체계가 그대로 유지된다. 이르면 내달 23일부터는 안착기로 2급 감염병에 준하는 의료·방역 관리가 본격 시행된다. 7일간의 격리의무와 의료기관의 환자 즉시 신고 의무가 없어진다. 격리가 의무가 아닌 권고사항이 되면서 확진자는 독감에 걸렸을 때처럼 개인 수칙을 준수하면서 일반 의료체계를 이용하게 된다. 격리하지 않기 때문에 생활비·유급휴가비·치료비 정부 지원도 종료된다.

지금까지는 외래진료와 입원치료시 발생하는 병원비가 무료였지만 앞으로는 건강보험과 환자 본인이 함께 부담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코로나19 검사·진단은 민간의료기관에서 이뤄지고, 보건소는 60세 이상과 요양병원·시설의 종사자 등 고위험군의 유전자증폭(PCR)만 맡게 된다. 민간의료기관에서도 진단역량 효율화를 위해 투약이 필요한 유증상자 중심으로 검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신속항원검사(RAT) 본인부담금 조정을 검토할 방침이다.

모든 의료기관을 자유롭게 이용하게 됨에 따라 '재택치료' 개념도 없어진다. 다만 확진자는 당분간은 지금처럼 동네 병·의원에 전화를 걸어 비대면으로 진료·처방은 받을 수 있다.


왕해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