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기·벤처

[단독] 중기부 "소상공인 보상 25兆 소요" 인수위에 보고

■ 당초 '현금성' 35兆서 10兆 줄여…코로나특위, 이달말 세부안 확정

'피해액 비례' 현실적 한계 보완

'정액 지원금' 더해 투트랙 보상

정책금융·稅지원도 함께 추진

홍경희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부대변인이 15일 오전 서울 통의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코로나특위 현안 브리핑을 하고 있다. 권욱 기자홍경희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부대변인이 15일 오전 서울 통의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코로나특위 현안 브리핑을 하고 있다. 권욱 기자




중소벤처기업부가 최근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약속한 50조 원 규모의 소상공인 손실보상과 관련, 인플레이션 등 대내외 악재 우려를 고려해 규모를 35조 원으로 줄이는 인수위 내부 기조에 발맞춰 25조 원 안팎의 현금성 보상 방안을 보고한 것으로 15일 알려졌다. 손실보상액 규모를 10조 원 더 줄인 것이다.

손실보상 대상도 국세청이 소득 신고 자영업자를 근거로 산출한 560만 개사의 소상공인을 전수조사하고 340만 명 수준으로 잠정 확정해 보상액을 추계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법률에 따른 영업제한과 집합금지로 발생한 ‘피해액 비례 손실보상’이 최대 80만 명에 그칠 수 있다는 현실적 한계를 보완하고자 증빙이 필요 없는 ‘정액 방역지원금’을 더해 보상하는 현금성 보상 방식의 투트랙 전략 방안을 강조해 보고했다고 한다.

관련기사



중기부는 지난달 인수위 업무 보고와 이달 초 코로나비상대응특별위원회 추가 보고에서 소상공인 손실보상법으로는 영업제한과 집합금지로 피해를 본 소상공인 지원이 최대 80만 명으로 제한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중기부는 이 자리에서 “온전한 손실보상을 위해서는 보상액에 대한 소상공인의 만족도를 높이고 형평성 논란을 불식시킬 수 있는 폭넓은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며 “보상 규모를 확대하고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액의 방역지원금을 추가 지급해야 한다”고 보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인수위 코로나비상특위 관계자는 “중기부가 업무 보고에서 소상공인 80만 명 규모의 손실보상과 별개로 방역지원금 추가 지급이라는 투트랙 보상안의 필요성을 강조했다”며 “시나리오별 보상 금액·대상을 산출한 뒤 이를 근거로 현금성 보상액 25조 원 안팎의 지급 규모·방식·대상·시기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고했다”고 말했다.

코로나비상특위는 수정 보완안을 검토한 후 민생경제분과 회의에서 현금성 손실보상안과 소상공인 정책금융·세제 지원도 함께 마련해 이르면 이달 말 세부안을 확정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기부 관계자는 “특위 위원들이 중기부에서 보고한 시뮬레이션별의 장단점을 지적하고 보완을 요구해 최종적인 보상 대상과 규모는 유동적”이라고 전했다.

이현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