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완치돼도 아픈 이유 있었다"…코로나, 7개월 넘게 잔류

美 스탠퍼드대 연구진 환자 113명 추적조사…"바이러스 체내 잠복 가능성"

체내 잠복, '롱 코비드' 원인일 수 있다는 지적도

코로나 바이러스 이미지코로나 바이러스 이미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의 배설물에서 반년 넘게 바이러스가 검출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6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스탠퍼드 대학 연구진은 지난 2020년 5월부터 코로나19에 감염된 경도·중등도 환자 113명을 대상으로 10개월간 주기적으로 분변 샘플을 채취했다. 분석 결과 확진 판정 후 첫주까지 절반(49.2%)의 분변에 코로나19 바이러스 리보핵산(RNA)가 검출됐다. 환자 12.7%는 완치 판정을 받은 지 4개월이 지난 시점까지, 3.8%는 7개월이 넘도록 같은 증상이 유지됐다.

관련기사



이번 연구의 책임저자 에이미 바트 스탠퍼드대 부교수는 코로나19가 위장관을 감염시킨 상태로 체내에 잠복한 탓에 이런 결과가 나왔을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위장관에 잠복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지속해서 조직을 손상하고 면역 체계를 자극해 위경련 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이는 몸속에 숨어 진행되는 감염이 롱 코비드에 중요할 수 있다는 의문을 제기한다"고 말했다. 롱 코비드는 감염 후 4주 이상 피로, 후각·미각 상실, 브레인 포그(brain fog·머리가 멍하고 생각과 표현이 분명하지 못한 증상) 등 증상이 이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증상의 심각성과 지속 기간은 사람마다 다르지만, 코로나19에서 회복한 사람 3명 중 1명이 장기 후유증을 앓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롱 코비드가 유발되는 원인은 아직 파악되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증상으로 숨진 사망자들의 시신을 부검해 소화기와 뇌 등 체내 여러 기관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를 검출했으나, 후유증과의 연관성을 완전히 규명하지 못한 실정이다.


윤진현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