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국힘, 첫 공천 자격시험…"어렵다" 출마자들 진땀

20대서 80대까지 4400여명 응시

당규·대북정책 등 1시간 동안 30문항

지역구는 가산점·비례대표는 절대평가

이준석 “성과 좋다면 자격시험화 검토”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17일 서울 양천구 목동고등학교에서 실시된 국민의힘 6·1 지방선거 광역·기초의원 출마자 대상 공직후보자 기초자격평가(PPAT) 시험을 보고 있다. 권욱 기자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17일 서울 양천구 목동고등학교에서 실시된 국민의힘 6·1 지방선거 광역·기초의원 출마자 대상 공직후보자 기초자격평가(PPAT) 시험을 보고 있다. 권욱 기자




국민의힘이 17일 6·1 지방선거 광역·기초의원 출마자들을 대상으로 공직후보자 기초자격평가(PPAT)를 시행했다. 정당 사상 최초로 치러지는 공천 자격시험이다.

이날 전국 17개 시도 19개 고사장에서 오전 8시 30분부터 치러진 PPAT에는 총 4400여 명이 응시했다. 최연소 응시자는 20세, 최고령 응시자는 81세였다. 일부는 시험이 “어려웠다”는 소감을 밝혔다.



PPAT는 국민의힘 적성 검사를 뜻하는 ‘People Power Aptitude Test’의 약자다. 지역구에 출마한 기초·광역의원 후보의 경우 평가 점수에 비례해 가산점을 받는다. 또 비례대표의 경우 광역의원은 70점, 기초의원은 60점 이상을 받아야 공천을 받을 수 있는 절대평가를 적용했다. 공직 후보자라면 일정 수준 이상의 역량과 소양을 갖춰야 한다는 취지다.

관련기사



시험은 4지 선다형으로 1시간 동안 치러졌다. 평가 영역은 △공직자 직무 수행 기본 역량(당헌당규·공직선거법) △분석 및 판단력 평가(자료 해석 및 상황 판단) △현안 분석 능력(대북정책, 외교안보, 안전과 사회, 청년정책, 지방자치) 등 3개 영역 8개 과목으로 총 30문항이었다. 문재인 정부의 북한 인권 정책, 한미 동맹 등 현안 관련 문제들과 디지털 성범죄 발생 추이 그래프 등을 제시한 자료 분석 문제도 나왔다.

PPAT 시행을 주도했던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도 예비 후보자들과 함께 시험을 치렀다. 이 대표는 시험을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대한민국에서 공직을 지내고 싶은 사람이라면 그에 걸맞은 역량을 갖춰야 한다는 것”이라며 “성과가 좋다고 평가될시에는 당헌당규 개정을 통해 자격시험화하는 것도 검토할 것”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난이도에 대해서는 “처음 치러지는 시험이다 보니 난이도의 표준화라든지 시험 과목이 적절했는가에 대한 여러 가지 사후 평가가 뒤따를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정답 표시는 컴퓨터용 사인펜을 사용해 광학마크인식(OMR) 카드에 답을 마킹하는 방식으로 이뤄져 OMR 마킹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들 일부가 당혹스러워 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국민의당 출마자들은 합당이 마무리되지 않은 관계로 시험에 응시하지 않았다. 이 대표는 “국민의당 측에서 (합당에 대해) 최종 결심을 하지 못해 (시험에) 참석하지 못한 것은 공천에 혼란을 줄 수 있는 상황”이라며 “합당 정신을 살려 큰 틀을 흔들지 않는 방향에서 국민의당 의견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남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