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네이버·카이스트 '초창의적 AI' 연구센터 오픈

제2사옥에 마련…'창작 AI' 개발

‘KAIST-네이버 초창의적 AI 연구센터’ 오픈식에 참석한 정송(왼쪽부터) KAIST AI대학원장, 주재걸 KAIST 교수, 이광형 KAIST 총장, 하정우 네이버 AI랩 소장, 성낙호 네이버 클로바CIC 책임리더. 사진 제공=네이버‘KAIST-네이버 초창의적 AI 연구센터’ 오픈식에 참석한 정송(왼쪽부터) KAIST AI대학원장, 주재걸 KAIST 교수, 이광형 KAIST 총장, 하정우 네이버 AI랩 소장, 성낙호 네이버 클로바CIC 책임리더. 사진 제공=네이버





네이버가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공동으로 경기 성남시 판교 신사옥에 마련한 ‘초창의적 인공지능(AI)연구센터’가 22일 문을 열었다. 네이버와 KAIST가 지난해 5월 초창의적 AI연구센터를 설립하기로 결정한 데 이어 이번에 거점까지 마련해 본격 연구개발(R&D) 협력에 나선다.

관련기사



네이버는 특히 신기술 집약체인 제2사옥 ‘1784’에 센터가 마련돼 더 큰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1784는 클라우드·로봇·자율주행·AI 등 각종 최첨단 기술을 녹여내 만들었다. 네이버 관계자는 “실제 기술 적용 현장을 가까이에서 경험하고 네이버의 다양한 서비스 부서와도 쉽게 소통하며 협력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초창의적 AI연구센터는 3년간 수백억 원 규모의 투자를 기반으로 KAIST 교수진 10여 명과 네이버·KAIST AI 연구원 100여 명이 참여하고 있다. 초창의적 AI란 차세대 AI로 불리는 ‘초거대 AI’를 기반으로 창작까지 해내는 AI를 말한다. 보통 정해진 답을 찾아내는 AI와 달리 음악이나 예술·영상 등을 만드는 활동을 하는 것이다. 연구센터가 그동안 발표한 연구 성과들은 AI 관련 최고 권위 학회인 ‘ICLR’ ‘ACL’ 등에서 채택·발표돼 국제적으로 인정받기도 했다.

네이버 AI 전문 연구 조직인 클로바CIC의 정석근 대표는 “이번에 마련된 연구 공간을 기반으로 AI 중에서도 새롭고 도전적인 분야인 ‘초창의적 AI’와 관련한 공동 연구를 성공적으로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KAIST의 AI 전문성과 네이버의 데이터·클라우드 기술 등을 기반으로 한 협업을 통해 혁신적인 시너지를 내겠다”고 설명했다.


박현익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