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美 '초긴축' 엎친데 中 '봉쇄' 덮쳐…당국 구두개입에도 속수무책

[亞 금융시장 패닉]

■ 원·달러환율 2년만에 1250원 터치

美 금리 0.75%P↑ 전망에 强달러

베이징 봉쇄 우려 위안화도 약세

하루새 10.8원 급등 1249.9원

이창용 "절하폭 아직 크지 않아"





25일 서울 명동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이 코스피는 47.58포인트 내린 2657.13에, 원·달러 환율은 10원 80전 오른 1249원 90전에 마감했음을 알리고 있다. 연합뉴스25일 서울 명동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이 코스피는 47.58포인트 내린 2657.13에, 원·달러 환율은 10원 80전 오른 1249원 90전에 마감했음을 알리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의 통화 긴축 가속화 움직임 속에 중국이 오미크론 확산 방지를 위해 상하이에 이어 베이징까지 추가 봉쇄에 나설 것이라는 우려가 확산하면서 원·달러 환율이 장중 1250원을 돌파했다. 외환 당국이 공식 구두 개입 메시지를 내놓으며 환율 상승 방어에 나섰지만 가파른 상승세를 막기는 역부족이었다. 미국의 공격적인 긴축 정책과 중국 경기의 둔화 우려 등 우리 경제를 둘러싼 대외 악재가 좀처럼 해소될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원·달러 환율 상승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25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10원 80전 오른 1249원 90전에 거래를 마치며 1250원 돌파를 눈앞에 뒀다. 이날 1243원 50전에 거래를 시작한 원·달러 환율은 장 마감 직전 1250원 10전까지 치솟으며 22일에 이어 2거래일 연속으로 연고점을 경신했다. 장중 최고가 기준으로는 2020년 3월 24일(1265원) 이후 2년 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하루 새 10원 넘게 오른 것도 지난달 14일 이후 처음이다.

관련기사



환율 상승세가 심상치 않자 이날 오전 기획재정부 등 외환 당국은 “최근 환율 움직임은 물론 주요 수급 주체별 동향에 대해 예의 주시하고 있다”며 공식 구두 개입 메시지를 내놓았다. 당국의 공식 구두 개입 메시지는 올해 3월 7일 이후 처음이다. 당국의 구두 개입 이후 상승세가 다소 둔화되던 환율은 오후 들어 다시 상승 폭을 키우며 1250원을 눈앞에 두고 거래를 마감했다.

이날 환율 급등세를 이끈 것은 미국의 통화 긴축과 중국 베이징의 추가 봉쇄 조치 우려 등 대외 악재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다음 달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포인트 올리는 ‘빅스텝’을 기정 사실화한 데다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를 비롯한 일부 연준 인사들이 금리를 한 번에 0.75%포인트나 올리는 ‘자이언트스텝’까지 언급하면서 달러 강세에 기름을 붓고 있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한때 101.7 선까지 오르며 2년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에서 움직이고 있다.

전 세계적인 달러 강세 속에 중국의 경기 둔화 우려로 위안화까지 약세 폭을 키우면서 원화 약세를 부채질하고 있다. 아시아 시장에서 역외 달러·위안 환율은 장중 6.59위안을 기록하며 2020년 11월 이후 최고치로 치솟기도 했다. ‘제로 코로나’ 정책에도 불구하고 상하이와 베이징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신규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당국은 수도 베이징 일부 지역을 임시 관리통제구역으로 정하며 사실상 도시 봉쇄 조치를 시작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상하이의 장기 봉쇄 조치로 촉발되고 있는 중국 경기 불안이 진정되지 못할 경우 위안화 가치의 추가 하락도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는 원·달러 환율의 추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시장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환율 연고점이 추가로 1260~1270원까지 올라갈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미국 금리가 올라가는 상황에서 원화 약세가 나타나고 있지만 엔화 등 다른 주요국과 비교하면 원화 절하 폭이 심한 편은 아니다”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환율은 정책 변수가 아닌 시장 변수라고 생각한다”며 “환율 움직임이 물가에 끼치는 영향을 보겠지만 환율에 초점을 맞춰 금리를 결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정책”이라고 강조했다.


김현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