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해외증시

경기둔화 우려 뒤늦게 반영…나스닥 -3.95% 폭락 [데일리 국제금융시장]

다우 -2.38%·S&P -2.81% 기록

고인플레·중국발 경기둔화 우려 커져

테슬라 -12.18% 등 기술조 급락

러시아 "핵전쟁 위험 커져" 리스크 고조

뉴욕증권거래소(NYSE) 내부. AFP연합뉴스뉴욕증권거래소(NYSE) 내부. AFP연합뉴스




마이크로소프트(MS)와 알파벳 등 빅테크 실적 발표를 앞두고 높은 인플레이션에 따른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의 공격적 긴축과 중국의 락다운(폐쇄) 확대에 따른 경기둔화 우려가 뒤늦게 시장에 반영되면서 미국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가 폭락했다.



26일(현지 시간) 미 경제 방송 CNBC에 따르면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가 전날보다 809.28포인트(2.38%) 떨어진 3만3240.18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이 120.92포인트(2.81%) 내린 4175.20, 나스닥은 514.11포인트(3.95%) 급락한 1만2490.74에 마감했다. CNBC는 “경기둔화를 우려한 투자자들이 주식을 투매하면서 하루 만에 다시 매도세를 이어갔다”며 “일부 투자자들은 넷플릭스에서 나타났던 실적 급락을 우려하면서 MS와 알파벳의 실적 발표조차 기다리지 않았다”고 전했다.

실제 월가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댄 나일스 사토리 펀드 설립자는 “증시가 앞으로 더 떨어질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이날 기술주는 급락했다. MS(-3.74%)를 비롯해 알파벳(-3.59%) 등이 3% 넘는 하락세를 보였고 이번 주 실적 발표를 앞둔 메타(-3.23%)와 애플(-3.73%), 아마존(-4.58%) 등이 줄줄이 떨어졌다. 테슬라는 무려 12.18%나 폭락했다. 울프 리서치의 크리스 세니엑은 “최근 몇 년 간의 빅테크 주식의 강세가 전반적인 경제가 둔화하면서 펀더멘털의 의미있게 악화하면 붕괴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관련기사



지정학적 리스크도 커지고 있다. 러시아 외무장관은 “핵전쟁 위험이 현실”이라고 했다.

국제유가는 중국의 코로나19 봉쇄 조치에도 러시아의 폴란드 가스 공급중단 등의 소식에 상승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의 6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3.16달러(3.2%) 오른 배럴당 101.7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기자페이지를 구독하시면 미국 경제와 월가의 뉴스를 쉽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뉴욕=김영필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